2006-09-14
org.kosen.entty.User@2205eeb8
김용암(kmpres)
- 1
스테인레스 튜브를 nw40등과 같은 플랜지와 용접을 하는데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SO,SF,WN등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한 설명과
각각의 용접이 가지는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해서도 알고 싶습니다.
현재 영국에서 생산하는 제품을 국산화할려고 하는데 도면과 다른
방법이라는 이유로 승인이 나지 않고 있습니다.
예를들면 영국에서는 플랜지가 돌출되어 있어서 튜브와 맞댄 상태로
재살 용접을 하게 되어있습니다.가스 퍼지도 되지 않아 산화가 됩니다.
저희가 사용하고자 하는 방법은 오비탈 자동용접기를 이용 튜브를 플랜지에 삽입해서 재살 용접을 하는 방법 입니다.
전문가의 견해를 꼭 듣고 싶습니다.
- TUBE WELD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고성훈님의 답변
2006-09-18- 0
안녕하십니까. 저 역시 배관 용접 분야는 그다지 잘 알고 있지 않습니다만, 질문하신 플랜지 용접 형상에 대한 부분은 답해 드리겠습니다. 플랜지의 형상에 의한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FF Flange-Flat Flange : Flange면이 평평한 것으로서 16 kg/cm2 이하에 많이 사용하는 주로 철제(Cast Iron) Valve에서 많이 사용한다. 왜냐하면 면이 올라온 RF Flange를 쓰면 재질상 주물은 깨지지 쉽기 때문이다. 2) RF Flange-Raised Flange : 16 kg/cm2 이상의 주강제 밸브에서 많이 사용하며 Flange닿는 면이 약간 튀어 나왔다. 여기에는 홈(Groove)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3) RJ Flange-Ring Joint : 40 kg/cm2 이상의 고온 고압의 증기일 때 주로 사용한다. 4) LTG/STG Flange : Flange 연결부위에 밀폐를 철저히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파이프의 접속법에 의한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Welding Neck (WN) : “high hub“플랜지로 응력을 파이프로 전달하여 플랜지면에서의 고응력을 줄인다. 가격이 다른 플랜지에 비하여 비싸다. 2) Slip-On (SO): “Low hub“플랜지로 Bore크기가 연결하는 파이프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가격이 Welding Neck에 비해 싸나 high stress가 걸리는 부분에는 적 당치 않다. 3) Threaded (Screwed) : Slip-On플랜지와 유사하나 Bore가 Thread로 되어있어 용접없이 연결이 가능 하다. 상온의 낮은 압력 혹은 용접이 위험한 가스폭발가능 구역에서 사용한 다. 4) Lap Joint : Slip-On과 실제적으로 같으나 Lap-Joint Stub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다. 5) Socket Welding (SW): Slip-On플랜지에 비해 파이프 내경과 크기가 같은 Bore가 하나 더 있다. 6) Blind : Bore없는 플랜지로 압력용기의 개구부나 파이프끝단을 폐쇄하는데 이용된다. 질문하신 WN, SO 등은 파이프 접속법에 대한 내용으로 첨부해 드린 화일의 그림을 참조하시면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으로 볼때 제가 이해되기로는, WN 접속에 대한 부분을 SO 접속으로 바꾸셔서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위 설명에서와 같이 용접 가능 여부, 응력 관계에 따라서 접속 방법이 달라집니다. WN 용접 방법은 플랜지에 전달되는 응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만약 다른 접속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면, 접속 방법 변경에 의한 응력 증가가 문제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이셔야 접속 방법 변경이 허용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