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flow volume 측정 가능 센서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tube에 흐르는 flow volume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튜브는 1/2인치정도 직경의 투명재질입니다. 유입되는 flow volume에 따라 analog적인 신호가 출력되는 센서를 찾고 있습니다. 비침습형으로 측정 가능하면 더 좋겠구요. 센서의 종류와 구입 가능한 곳이 궁금합니다. 관심어린 답글 부탁드립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 flow
  • flowmeter
  • flowvolum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정옥찬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tube에 흐르는 flow volume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 >튜브는 1/2인치정도 직경의 투명재질입니다. > >유입되는 flow volume에 따라 analog적인 신호가 출력되는 센서를 찾고 있습니다. > >비침습형으로 측정 가능하면 더 좋겠구요. > >센서의 종류와 구입 가능한 곳이 궁금합니다. > > > >관심어린 답글 부탁드립니다.. > >항상 행복하세요.. 유량 센서는 http://www.omega.com/ppt/pptsc.asp?ref=FMA1600&Nav=gred05 참고하시구요.. analog 신호는 적절하게 뽑아내시면 되구요.. 말씀하시는 튜브에 유입되는 flow가 기체? 유체? 적절한 범위를 고려하셔서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 >tube에 흐르는 flow volume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 >튜브는 1/2인치정도 직경의 투명재질입니다. > >유입되는 flow volume에 따라 analog적인 신호가 출력되는 센서를 찾고 있습니다. > >비침습형으로 측정 가능하면 더 좋겠구요. > >센서의 종류와 구입 가능한 곳이 궁금합니다. > > > >관심어린 답글 부탁드립니다.. > >항상 행복하세요.. 유량 센서는 http://www.omega.com/ppt/pptsc.asp?ref=FMA1600&Nav=gred05 참고하시구요.. analog 신호는 적절하게 뽑아내시면 되구요.. 말씀하시는 튜브에 유입되는 flow가 기체? 유체? 적절한 범위를 고려하셔서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유량센서는 위에서 소개한 사이트에서 주문하셔도 되고, 일본회사 제품을 선택하셔도 좋습니다. 물론 독일제도 괜찮고요. 그러나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며칠전부터 유량계를 250만원에 구입하여 액체의 흐름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이 유량계는 파이프 안쪽에 프로펠러가 들어있어 유체가 흘러갈 때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알아내는 방식입니다. 이런 형식의 유량계는 아날로그 출력이 매우 힘듭니다. 왜냐하면 프로펠러가 돌아가는 것을 펄스 형태로 잡아내어 시간 당 펄스의 개수로 파이프 단면적을 고려하여 유량을 계산합니다. 물론 유량계에 붙어있는 LED전광판에는 유량이 합산되어 나옵니다. 그러나 실험실에서는 컴퓨터로 뽑아내어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런 형태의 유량계는 순간전압이나 전류가 나와서 RS-232 포트로 넣더라도 순간적인 유량변화만 기록합니다. 따라서 제작회사나 판매회사에 문의하여 컴퓨터의 프로그램이 있는가를 꼭 확인하여 RS-232 포트로 들어오는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유량 합산이 가능한가를 알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그냥 구입했다가는 직접 컴퓨터 프로그래밍까지 해야 합니다. * 또 이 형식의 유량계는 한쪽 방향의 흐름 밖에는 측정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유량계에는 유체의 흐름 방향이 꼭 명시되어 있습니다. * 이 형식의 유량계의 약점으로 프로펠러를 돌려줄 만한 유속이 나오지 않을 때는 유체의 흐름이 있어도 유량 표시를 할 수 없습니다. 얼마전에 어떤 반도체 업체에서 이 유량계를 사용하다가 사고가 나서 난리가 난 적이 있습니다. 두 번째는 아주 고가의 제품으로 초음파를 쏘아 반사되어 오는 주파수를 도플러 효과로 계산하여 유속을 계산하는 유량계가 있습니다. 원리는 여러 곳에서 소개를 하고 있지만 실제 제품은 만져보지 못했습니다. 잘 찾아보시고 구입하십시오. 세 번째는 열량계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탐침을 유체에 담그면 유체가 흐를때 탐침에서 열량을 빼앗아가는 정도가 유속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유속을 측정하고 파이프의 단면적을 고려하여 유량을 계산합니다. 지금 개발 중인데... 어쩌면 상용으로 나왔을 수도 있군요. 외국의 유체역학 실험실에서는 백금선을 풍동에 설치하여 유속에 따라 유체가 백금선에 부딪쳐서 저항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측정하는 곳도 있습니다. 난류의 유속을 측정하거나 삼차원 운동을 분석할 때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유체안에다 담아 사용하는군요. 센서를 유체에 담그지 않고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초음파로 재는 방법이 있을텐데... 워낙 비싸서 대학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회사를 찾아보면 나올겁니다.
    유량센서는 위에서 소개한 사이트에서 주문하셔도 되고, 일본회사 제품을 선택하셔도 좋습니다. 물론 독일제도 괜찮고요. 그러나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며칠전부터 유량계를 250만원에 구입하여 액체의 흐름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이 유량계는 파이프 안쪽에 프로펠러가 들어있어 유체가 흘러갈 때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알아내는 방식입니다. 이런 형식의 유량계는 아날로그 출력이 매우 힘듭니다. 왜냐하면 프로펠러가 돌아가는 것을 펄스 형태로 잡아내어 시간 당 펄스의 개수로 파이프 단면적을 고려하여 유량을 계산합니다. 물론 유량계에 붙어있는 LED전광판에는 유량이 합산되어 나옵니다. 그러나 실험실에서는 컴퓨터로 뽑아내어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런 형태의 유량계는 순간전압이나 전류가 나와서 RS-232 포트로 넣더라도 순간적인 유량변화만 기록합니다. 따라서 제작회사나 판매회사에 문의하여 컴퓨터의 프로그램이 있는가를 꼭 확인하여 RS-232 포트로 들어오는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유량 합산이 가능한가를 알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그냥 구입했다가는 직접 컴퓨터 프로그래밍까지 해야 합니다. * 또 이 형식의 유량계는 한쪽 방향의 흐름 밖에는 측정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유량계에는 유체의 흐름 방향이 꼭 명시되어 있습니다. * 이 형식의 유량계의 약점으로 프로펠러를 돌려줄 만한 유속이 나오지 않을 때는 유체의 흐름이 있어도 유량 표시를 할 수 없습니다. 얼마전에 어떤 반도체 업체에서 이 유량계를 사용하다가 사고가 나서 난리가 난 적이 있습니다. 두 번째는 아주 고가의 제품으로 초음파를 쏘아 반사되어 오는 주파수를 도플러 효과로 계산하여 유속을 계산하는 유량계가 있습니다. 원리는 여러 곳에서 소개를 하고 있지만 실제 제품은 만져보지 못했습니다. 잘 찾아보시고 구입하십시오. 세 번째는 열량계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탐침을 유체에 담그면 유체가 흐를때 탐침에서 열량을 빼앗아가는 정도가 유속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유속을 측정하고 파이프의 단면적을 고려하여 유량을 계산합니다. 지금 개발 중인데... 어쩌면 상용으로 나왔을 수도 있군요. 외국의 유체역학 실험실에서는 백금선을 풍동에 설치하여 유속에 따라 유체가 백금선에 부딪쳐서 저항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측정하는 곳도 있습니다. 난류의 유속을 측정하거나 삼차원 운동을 분석할 때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유체안에다 담아 사용하는군요. 센서를 유체에 담그지 않고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초음파로 재는 방법이 있을텐데... 워낙 비싸서 대학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회사를 찾아보면 나올겁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