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8
org.kosen.entty.User@27f14fa7
한진우(hanjinu)
- 1
Si wafer관련 질문입니다
Wafer을 검색해보면 항상 n-type이나 p-type wafer만 보았습니다.
그런데 도핑이 전혀 되지 않은 intrinsic wafer은 없습니까?
그런 것을 본 적이 없어서요, 못 만드는건지, 안 만드는 건지, 있는데 제가 못 찾은건지
그냥 호기심이 생기더라구요
만약 intrinsic wafer 가 존재하면 inversion 이나 accmulation은 어떻게 정의 하죠?
답변 부탁드립니다.
- wafer
- type
- intrinsi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부경호님의 답변
2006-09-29- 0
>Si wafer관련 질문입니다 > >Wafer을 검색해보면 항상 n-type이나 p-type wafer만 보았습니다. > >그런데 도핑이 전혀 되지 않은 intrinsic wafer은 없습니까? > >그런 것을 본 적이 없어서요, 못 만드는건지, 안 만드는 건지, 있는데 제가 못 찾은건지 > >그냥 호기심이 생기더라구요 > >만약 intrinsic wafer 가 존재하면 inversion 이나 accmulation은 어떻게 정의 하죠? > >답변 부탁드립니다. intrinsic 웨이퍼 아래 사이트에 가면 http://www.semiwafer.com/products/silicon.htm 시판되는 물건으로도 보이네요. 이 경우 불순물은 1E10/cm3 이하로 컨트롤 해야 할텐데, 그래서 만들기 어려울 것 같아서, epi-wafer로도 기판의 종류에 무관하게 만들 거라 생각했는데, 웨이퍼로도 만들어 파는 군요. intrisic 웨이퍼는 n-type도 아니고 p-type 도 아닌 fermi level이 midigap에 존재하니 (intrinsic carrier hole/electron 각각 1E11/cm3 정도 존재) inversion 은 정의가 안되고,(carrier의 타입이 바뀌는 포인트). intrinsic 웨이퍼는 워낙 저항이 커서 웨이퍼 자체가 전기적으로는 depletion 된 거나 다름 없는 부도체라고 생각하면 되겠구요. 양쪽 +/- field에서 electron과 hole은 어차피 accumulation 된다고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