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2형당뇨 실험

이번에 2형당뇨(ob/ob)마우스로 당뇨실험을 했습니다. 그런데 control에 비해 혈당감소도 이루졌고 glucose tolerence 실험에서도 추출물이 효과 가 있음이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인슐린을 측정해 보니 인슐린 양이 control에 비해 굉장히 많이(4배정도) 증가 했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제 가 알고 있기에는 고 인슐린증이 2형 당뇨의 원인이고 치료가 되면 인슐 린 감소가 일어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본 ob/ob마우스 논문은 다 인슐린 감소가 이루어 졌더라구 요. 혹시 제가 실험을 잘못 했나요? 혹시 이런 경우가 생기신 분 있음 답 변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db/db마우스에서는 혈당강하효과와 인슐린 증가가 있다는 논문은 보았습니다.
  • 2형당뇨
  • 인슐린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성욱님의 답변

    >이번에 2형당뇨(ob/ob)마우스로 당뇨실험을 했습니다. 그런데 control에 > >비해 혈당감소도 이루졌고 glucose tolerence 실험에서도 추출물이 효과 > >가 있음이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인슐린을 측정해 보니 인슐린 양이 > >control에 비해 굉장히 많이(4배정도) 증가 했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제 > >가 알고 있기에는 고 인슐린증이 2형 당뇨의 원인이고 치료가 되면 인슐 > >린 감소가 일어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그리고 제가 본 ob/ob마우스 논문은 다 인슐린 감소가 이루어 졌더라구 > >요. 혹시 제가 실험을 잘못 했나요? 혹시 이런 경우가 생기신 분 있음 답 > >변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db/db마우스에서는 혈당강하효과와 인슐린 증가가 있다는 논문은 > >보았습니다. > >sulfonyl urea계열 약물들처럼 인슐린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봐야하지 안을까요?
    >이번에 2형당뇨(ob/ob)마우스로 당뇨실험을 했습니다. 그런데 control에 > >비해 혈당감소도 이루졌고 glucose tolerence 실험에서도 추출물이 효과 > >가 있음이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인슐린을 측정해 보니 인슐린 양이 > >control에 비해 굉장히 많이(4배정도) 증가 했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제 > >가 알고 있기에는 고 인슐린증이 2형 당뇨의 원인이고 치료가 되면 인슐 > >린 감소가 일어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그리고 제가 본 ob/ob마우스 논문은 다 인슐린 감소가 이루어 졌더라구 > >요. 혹시 제가 실험을 잘못 했나요? 혹시 이런 경우가 생기신 분 있음 답 > >변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db/db마우스에서는 혈당강하효과와 인슐린 증가가 있다는 논문은 > >보았습니다. > >sulfonyl urea계열 약물들처럼 인슐린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봐야하지 안을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이번에 2형당뇨(ob/ob)마우스로 당뇨실험을 했습니다. 그런데 control에 > >비해 혈당감소도 이루졌고 glucose tolerence 실험에서도 추출물이 효과 > >가 있음이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인슐린을 측정해 보니 인슐린 양이 > >control에 비해 굉장히 많이(4배정도) 증가 했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제 > >가 알고 있기에는 고 인슐린증이 2형 당뇨의 원인이고 치료가 되면 인슐 > >린 감소가 일어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그리고 제가 본 ob/ob마우스 논문은 다 인슐린 감소가 이루어 졌더라구 > >요. 혹시 제가 실험을 잘못 했나요? 혹시 이런 경우가 생기신 분 있음 답 > >변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db/db마우스에서는 혈당강하효과와 인슐린 증가가 있다는 논문은 > >보았습니다. > > 제가 보기에는 위에서 말씀하신 다른 논문과도 비슷할 것으로 보이나 문제는 만약에 추출물이 인슐린 유사구조라든가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인슐린 측정법에 같이 측정이 되었다면 위에서 나타난 증상들이 다 설명이 되겠지요? 인슐린 유사구조라면 유사한 작용을 할 것이고 당연히 인슐린 측정에도 잡히겠지요. 추출한 물질의 구조는 아시는지요? 제 생각에는 이 것이 아니면 설명하기 어렵겠는데요?
    >이번에 2형당뇨(ob/ob)마우스로 당뇨실험을 했습니다. 그런데 control에 > >비해 혈당감소도 이루졌고 glucose tolerence 실험에서도 추출물이 효과 > >가 있음이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인슐린을 측정해 보니 인슐린 양이 > >control에 비해 굉장히 많이(4배정도) 증가 했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제 > >가 알고 있기에는 고 인슐린증이 2형 당뇨의 원인이고 치료가 되면 인슐 > >린 감소가 일어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그리고 제가 본 ob/ob마우스 논문은 다 인슐린 감소가 이루어 졌더라구 > >요. 혹시 제가 실험을 잘못 했나요? 혹시 이런 경우가 생기신 분 있음 답 > >변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db/db마우스에서는 혈당강하효과와 인슐린 증가가 있다는 논문은 > >보았습니다. > > 제가 보기에는 위에서 말씀하신 다른 논문과도 비슷할 것으로 보이나 문제는 만약에 추출물이 인슐린 유사구조라든가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인슐린 측정법에 같이 측정이 되었다면 위에서 나타난 증상들이 다 설명이 되겠지요? 인슐린 유사구조라면 유사한 작용을 할 것이고 당연히 인슐린 측정에도 잡히겠지요. 추출한 물질의 구조는 아시는지요? 제 생각에는 이 것이 아니면 설명하기 어렵겠는데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