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04
org.kosen.entty.User@36988348
권호근(ggondae98)
- 1
안녕하세요?
제가 궁금한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
요즘 하고 있는 실험이 있는데
세포가 특정 약물에 의해 세포가 hyporesponsiveness하게 되는데
그래서 그 이유가 RelA의 translocation의 blocking에 의한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에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결과가 거의 반대로 나왔습니다.
즉 RelA의 translocation이 증가하는것 처럼 나왔습니다.
데이터 해석에 어려움을 격고 있어서...
혹시 p65가 gene suppression 이나 hyporesponsiveness에 관여하는 관련 논문이나 사실을 알고 있으신 분은 꼭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그럼 즐거운 추석 보내세요~
- NFkB
- RelA
- p65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2006-10-04- 0
>안녕하세요? >제가 궁금한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 >요즘 하고 있는 실험이 있는데 >세포가 특정 약물에 의해 세포가 hyporesponsiveness하게 되는데 >그래서 그 이유가 RelA의 translocation의 blocking에 의한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에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결과가 거의 반대로 나왔습니다. >즉 RelA의 translocation이 증가하는것 처럼 나왔습니다. >데이터 해석에 어려움을 격고 있어서... >혹시 p65가 gene suppression 이나 hyporesponsiveness에 관여하는 관련 논문이나 사실을 알고 있으신 분은 꼭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그럼 즐거운 추석 보내세요~ 어떤 실험을 하시는 지 모르지만 제가 찾은 논문은 첨부화일과 같습니다. 참고로 COX-2는 관절염과 관련이 있는 작용점입니다. 관절염의 모델에 관한 논문은 많이 가지고 있으나 혹시 필요하시면 다시 질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