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09
org.kosen.entty.User@1db9bc16
황현태(hk514)
- 1
안녕하세요.
검출체(TARGET)의 거리에 따라 검출량이 변하는 SENSOR를 구하고자 합니다.
검출체(TARGET)는 금속물체이고, 사이에 진흙이나 염수가 존재합니다.
단순한 검출이 아닌 거리변화에 의해 감지전압(혹은 전류)값이 변하는 SENSOR를 구하고자 합니다.적합한센서를 찾고있습니다.
SENSOR명이나 구입처와 사용법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십시오.
- SENSOR
- STEEL
- DETECTO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2006-10-09- 0
감지물체가 금속이기 때문에 자기유도(inductive)형 센서가 적합하리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자기유도형 센서는 가격이 저렴하고 많이 생산되기 때문에 시중의 어떤 센서업체에서 구해도 별로 부담이 되지 않을겁니다. 그러나 정밀한 측정을 위해서는 고가 부품을 사용한 자기유도형 센서를 구입하셔야 할 것입니다. 산업용 자기유도센서는 가격이 2만원대를 넘지 않으나 정밀측정용 센서는 십만원대를 넘을 수도 있습니다. 정전유도형 센서는 자기유도형센서에 비해 정밀하고 온도변화에 민감하지 않지만 중간에 흙이나 물과 같은 성분이 있으면 뒤에 있는 금속의 존재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저렴한 자기유도형 센서는 특정 거리에 도달하면 감지신호를 내는 온-오프 형식이 많습니다. 실제로 감지출력은 대상물체의 거리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로 나오지만 회로에서 특정값 이상이 되면 신호를 내도록 했기 때문입니다. 왜 아날로그 신호를 내보내지 않느냐면,... 감지물체의 거리에 따른 변화값이 선형값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리에 따른 아날로그 출력을 원한다면 고가의 IC를 이용한 회로를 만들어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질 것입니다. 자기유도형 센서는 출력이 전류값으로 나오지만 저항을 연결해서 전압으로도 바꾸기 때문에 별로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센서업체를 찾아 문의하시면 문제없이 구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