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10
org.kosen.entty.User@3eb38431
조상현(72407072)
- 1
(변형응력은 유효응력과 내부응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효응력은 단범위 저항(장애)을 극복하는 응력으로, 열활성화와 관련되어 있어 열적 응력이라고도 합니다. 한편 내부응력은 장범위 저항(장애)을 극복하는 응력으로 비열적 응력이라고도 합니다. 내부응력으로는 전위간의 탄성적 상호작용을 극복하는 응력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전위의 열활성화 과정(단범위 저항)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저는 재료를 공부학는 학생입니다. 아직 학생이라 모르는 것이 많아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교수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인에 여러 책과 인터넷자료를 찾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자세하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disloc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황병철님의 답변
2006-11-02- 0
>(변형응력은 유효응력과 내부응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효응력은 단범위 저항(장애)을 극복하는 응력으로, 열활성화와 관련되어 있어 열적 응력이라고도 합니다. 한편 내부응력은 장범위 저항(장애)을 극복하는 응력으로 비열적 응력이라고도 합니다. 내부응력으로는 전위간의 탄성적 상호작용을 극복하는 응력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전위의 열활성화 과정(단범위 저항)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저는 재료를 공부학는 학생입니다. 아직 학생이라 모르는 것이 많아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교수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인에 여러 책과 인터넷자료를 찾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자세하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위는 일반적으로 슬립면에서만 활주할 수 있지만, 어떤 조건 하에서는 슬립면의 위 아래나 평행한 면으로 직적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 예 중의 하나가 전위상승(dislocation climb)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전위상승은 공공이나 격자간 원자가 전위 위치로 또는 전위 위치로부터 확산하여 일어납니다. 즉 전위상승은 확산 지배과정으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열적으로 활성화되어 쉽게 일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