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재압출된 플라스틱의 충격강도

압출된 폴리카보네이트(PC) 시트(UV안정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된 완제품의 상태)를 분쇄 후 Pelletizing하여 다시 압출하였을 때 충격강도 (Notched Izod Test)가 현저히 저하되었습니다. 여러번의 압출과정에서의 고온가공에 의한 구조의 변화가 그 원인이라 추정됩니다. 1.어떤 구조적 변화에 의해 Notched Izod 충격강도이 영향을 받았는지? 2.만약 다른 원인이라면 어떤 것이 있을지? 3.이러한 원인들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고싶습니다.
  • polycarbonate
  • extrusion
  • recycl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압출된 폴리카보네이트(PC) 시트(UV안정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된 완제품의 상태)를 분쇄 후 Pelletizing하여 다시 압출하였을 때 충격강도 (Notched Izod Test)가 현저히 저하되었습니다. > >여러번의 압출과정에서의 고온가공에 의한 구조의 변화가 그 원인이라 추정됩니다. > >1.어떤 구조적 변화에 의해 Notched Izod 충격강도이 영향을 받았는지? >2.만약 다른 원인이라면 어떤 것이 있을지? >3.이러한 원인들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고싶습니다. 제가 실험했던 재질은 아니지만 비슷한 유형이라 생각해서 답변 올립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원료를 재압출할 경우 충격강도가 떨어지는데 이는 고온가공에 의한 화학구조의 변화가 일어나서 그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제가 실험한 결론으로는 그 보다는 raw material에 첨가되어 있는 여러물질이 고온가공에 의해 그 존재가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원재료 상태에서의 물질분석, 그리고 여러번 재압출 후의 물질 분석을 비교하는 방법외에 달리 방법이 없을거 같은데요...
    >압출된 폴리카보네이트(PC) 시트(UV안정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된 완제품의 상태)를 분쇄 후 Pelletizing하여 다시 압출하였을 때 충격강도 (Notched Izod Test)가 현저히 저하되었습니다. > >여러번의 압출과정에서의 고온가공에 의한 구조의 변화가 그 원인이라 추정됩니다. > >1.어떤 구조적 변화에 의해 Notched Izod 충격강도이 영향을 받았는지? >2.만약 다른 원인이라면 어떤 것이 있을지? >3.이러한 원인들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고싶습니다. 제가 실험했던 재질은 아니지만 비슷한 유형이라 생각해서 답변 올립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원료를 재압출할 경우 충격강도가 떨어지는데 이는 고온가공에 의한 화학구조의 변화가 일어나서 그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제가 실험한 결론으로는 그 보다는 raw material에 첨가되어 있는 여러물질이 고온가공에 의해 그 존재가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원재료 상태에서의 물질분석, 그리고 여러번 재압출 후의 물질 분석을 비교하는 방법외에 달리 방법이 없을거 같은데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