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유정란을 이용한 CAM assay를 처음 해 보았습니다

유정란을 이용하여 CAM assay를 처음 해 보았습니다 혈관 형성한것이 눈으로 보이는데 이것을 그냥 일반적인 디카로 찍는 건가요? 아님 다른 특별한 찍는 장치가 필요한가요? 그 외 이실험에 유의할 사항이 있으면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AM
  • angiogenesi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유정란을 이용하여 CAM assay를 처음 해 보았습니다 >혈관 형성한것이 눈으로 보이는데 이것을 그냥 일반적인 디카로 찍는 건가요? >아님 다른 특별한 찍는 장치가 필요한가요? >그 외 이실험에 유의할 사항이 있으면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사진은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디카로 촬영하여 현상을 억제한 다는 것으로 표현하고 invasion assay를 하여 객관적인 수치화로 표현합니다. 물론 in vivo로 마우스에서 매트리젤을 넣어 실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유정란을 이용하여 CAM assay를 처음 해 보았습니다 >혈관 형성한것이 눈으로 보이는데 이것을 그냥 일반적인 디카로 찍는 건가요? >아님 다른 특별한 찍는 장치가 필요한가요? >그 외 이실험에 유의할 사항이 있으면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사진은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디카로 촬영하여 현상을 억제한 다는 것으로 표현하고 invasion assay를 하여 객관적인 수치화로 표현합니다. 물론 in vivo로 마우스에서 매트리젤을 넣어 실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배명호님의 답변

    >유정란을 이용하여 CAM assay를 처음 해 보았습니다 >혈관 형성한것이 눈으로 보이는데 이것을 그냥 일반적인 디카로 찍는 건가요? >아님 다른 특별한 찍는 장치가 필요한가요? >그 외 이실험에 유의할 사항이 있으면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ngiogenic inhibitor 혹은 activator를 in vivo 상에서 스크리닝 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쉽고 간편한 방법이 바로 CAM assay 입니다. 그렇지만 실험상의 헛점도 있기 마련이죠.. 제가 실험할 때에는 해부현미경에 카메라를 연결하여 노출속도를 조정해 가면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디카가 있으니 휠씬 편하겠네요.. 디카로 찍으면 사진을 다시 스캔할 필요도 없을 테니 더욱 좋겠네요. 그 외에 데이터 보존을 위해서 필요한 장치는 없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실험상의 헛점이 존재하는데요.. 무엇보다 객관적인 실험결과의 판단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실험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뒤 Angiogenic inhibitor 혹은 activator의 여부를 판단한다는 거죠.. 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판단자를 2명이상으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판단자들의 의견이 일치했을때 그 결과를 인정하는 방식이죠.. 그 외엔 실험하시면서 구체적인 어려움을 얘기하시면 제가 성심성의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유정란을 이용하여 CAM assay를 처음 해 보았습니다 >혈관 형성한것이 눈으로 보이는데 이것을 그냥 일반적인 디카로 찍는 건가요? >아님 다른 특별한 찍는 장치가 필요한가요? >그 외 이실험에 유의할 사항이 있으면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ngiogenic inhibitor 혹은 activator를 in vivo 상에서 스크리닝 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쉽고 간편한 방법이 바로 CAM assay 입니다. 그렇지만 실험상의 헛점도 있기 마련이죠.. 제가 실험할 때에는 해부현미경에 카메라를 연결하여 노출속도를 조정해 가면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디카가 있으니 휠씬 편하겠네요.. 디카로 찍으면 사진을 다시 스캔할 필요도 없을 테니 더욱 좋겠네요. 그 외에 데이터 보존을 위해서 필요한 장치는 없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실험상의 헛점이 존재하는데요.. 무엇보다 객관적인 실험결과의 판단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실험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뒤 Angiogenic inhibitor 혹은 activator의 여부를 판단한다는 거죠.. 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판단자를 2명이상으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판단자들의 의견이 일치했을때 그 결과를 인정하는 방식이죠.. 그 외엔 실험하시면서 구체적인 어려움을 얘기하시면 제가 성심성의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