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cr-dgge, pcr-sscp

안녕하세요? 제가 PCR을 공부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을 올리게 되었는데요~ pcr-dgge, pcr-sscp의 각각 특성과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아무리 책을 읽어보고 인터넷을 찾아보아도 이해가 안가서요~^^ 가르쳐 주세요~^^ 그럼 수고하세요~^^
  • PC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수제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제가 PCR을 공부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을 올리게 되었는데요~ >pcr-dgge, pcr-sscp의 각각 특성과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아무리 책을 읽어보고 인터넷을 찾아보아도 이해가 안가서요~^^ >가르쳐 주세요~^^ 그럼 수고하세요~^^ 책을 보시면 이해가 될텐데..^^; 여하튼 PCR 자체는 말씀을 안드리겠습니다. DGGE의 full name 은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입니다. 즉 gel 농도 구배를 통하여 point mutation을 찾아내는 것인데요.. 그리고 SSCP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도 비슷한 것인데 둘간의 공통점은.. 우선 첫번째로 pattern 분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구요..두번째론 DNA의 염기서열 차이에 따라 2차구조의 변화 또는 이중나선의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고 전기영동시 이동 속도가 달라지게 되어 일정한 전기영동 pattern을 보이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라는거.. 저 위에 방법 모두는 염기서열내의 단순한 돌연변이를 검색하기 위해 고안되어진 방법이구요.. DGGE 말고 온도를 조절해서 실험하는 TGGE (Temperature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도 있습니다. 그 중에서 DGGE pattern 분석법의 원리는 전기영동시 gel내에 존재하는 변성제의 농도 구배에 따른 핵산의 이중나선 구조와 변성구조, 즉 염기서열이 가지는 Tm 값의 차이에 의해 핵산의 이동속도가 달라지는 점을 이용한 것인데요..G+C content라는 말 들어보셨죠? 그거 이용한거구요.. SSCP는 dsDNA를 denature 시켰다가..급속히 냉각 시키면..ssDNA가 dsDNA로 되지 못하고.. 고유한 구조를 가지는 형태로 되는데..이걸 이용하여..전기영동 pattern을 비교 분석할 수 있죠.. 원리는 상당히 간단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PCR을 공부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을 올리게 되었는데요~ >pcr-dgge, pcr-sscp의 각각 특성과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아무리 책을 읽어보고 인터넷을 찾아보아도 이해가 안가서요~^^ >가르쳐 주세요~^^ 그럼 수고하세요~^^ 책을 보시면 이해가 될텐데..^^; 여하튼 PCR 자체는 말씀을 안드리겠습니다. DGGE의 full name 은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입니다. 즉 gel 농도 구배를 통하여 point mutation을 찾아내는 것인데요.. 그리고 SSCP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도 비슷한 것인데 둘간의 공통점은.. 우선 첫번째로 pattern 분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구요..두번째론 DNA의 염기서열 차이에 따라 2차구조의 변화 또는 이중나선의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고 전기영동시 이동 속도가 달라지게 되어 일정한 전기영동 pattern을 보이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라는거.. 저 위에 방법 모두는 염기서열내의 단순한 돌연변이를 검색하기 위해 고안되어진 방법이구요.. DGGE 말고 온도를 조절해서 실험하는 TGGE (Temperature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도 있습니다. 그 중에서 DGGE pattern 분석법의 원리는 전기영동시 gel내에 존재하는 변성제의 농도 구배에 따른 핵산의 이중나선 구조와 변성구조, 즉 염기서열이 가지는 Tm 값의 차이에 의해 핵산의 이동속도가 달라지는 점을 이용한 것인데요..G+C content라는 말 들어보셨죠? 그거 이용한거구요.. SSCP는 dsDNA를 denature 시켰다가..급속히 냉각 시키면..ssDNA가 dsDNA로 되지 못하고.. 고유한 구조를 가지는 형태로 되는데..이걸 이용하여..전기영동 pattern을 비교 분석할 수 있죠.. 원리는 상당히 간단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