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이미드화율을 높일 수 있는 폴리아믹산/폴리아믹에스터의 설계

현재 폴리이미드 필름을 만드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얇은 박막으로 0.1um 정도의 두께입니다. PAA를 합성하여 용액을 스핀코팅후 230도 1시간 경화를 하는데 IR 평가결과 이미드화율이 50%미만으로 나왔습니다. 문헌을 찾아보니 제가 다루는 폴리아믹산은 저정도 온도에서 저정도 수준의 이미드화율을 갖는다고 합니다. PAA전구체로 준비된 PI필름의 이미드화율을 획기적으로 높일수 있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1. 온도는 더 이상 올릴수 없습니다. 2. Ac2O와 아민류의 촉매첨가 실험은 하였고 70%까지 올렸으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3. 가능하면 폴리아믹산의 구조변경, 이를테면 폴리아믹에스터(activated PAE같은것이 있다면....) 등에 대한 경험이 있으신 분의 조언을 학수고대하고 있습니다. 합성은 조금 힘들어도 상관없습니다. 관련한 조언이나 문헌을 추천해주신다면 제 리서취라이프에 굉장히 큰 도움이 될겁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hanks in Advance~~~
  • polyimid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현재 폴리이미드 필름을 만드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얇은 박막으로 0.1um 정도의 두께입니다. >PAA를 합성하여 용액을 스핀코팅후 230도 1시간 경화를 하는데 IR 평가결과 이미드화율이 50%미만으로 나왔습니다. >문헌을 찾아보니 제가 다루는 폴리아믹산은 저정도 온도에서 저정도 수준의 이미드화율을 갖는다고 합니다. > >PAA전구체로 준비된 PI필름의 이미드화율을 획기적으로 높일수 있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1. 온도는 더 이상 올릴수 없습니다. >2. Ac2O와 아민류의 촉매첨가 실험은 하였고 70%까지 올렸으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3. 가능하면 폴리아믹산의 구조변경, 이를테면 폴리아믹에스터(activated PAE같은것이 있다면....) 등에 대한 경험이 있으신 분의 조언을 학수고대하고 있습니다. 합성은 조금 힘들어도 상관없습니다. >관련한 조언이나 문헌을 추천해주신다면 제 리서취라이프에 굉장히 큰 도움이 될겁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hanks in Advance~~~ 이 분야의 전문가 소개해 드릴게요..저도 도움을 받았는데요.. 메일로 문의하시면 성의껏 답변 해 주실겁니다. 경쟁사에 계신 분이 아니라면 말이죠.^^ 코오롱에서 연구하시는 분인데요.. Sang-Min Song ( 宋 相旻 ), Ph.D. Senior Researcher / Chief of PI Lab. Chemicals Research Institute Kolon Central Research Park TEL : 82-31-280-8630 FAX : 82-31-280-8599 CP : 82-16-771-2719 E-mail: smsong@kolon.com
    >현재 폴리이미드 필름을 만드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얇은 박막으로 0.1um 정도의 두께입니다. >PAA를 합성하여 용액을 스핀코팅후 230도 1시간 경화를 하는데 IR 평가결과 이미드화율이 50%미만으로 나왔습니다. >문헌을 찾아보니 제가 다루는 폴리아믹산은 저정도 온도에서 저정도 수준의 이미드화율을 갖는다고 합니다. > >PAA전구체로 준비된 PI필름의 이미드화율을 획기적으로 높일수 있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1. 온도는 더 이상 올릴수 없습니다. >2. Ac2O와 아민류의 촉매첨가 실험은 하였고 70%까지 올렸으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3. 가능하면 폴리아믹산의 구조변경, 이를테면 폴리아믹에스터(activated PAE같은것이 있다면....) 등에 대한 경험이 있으신 분의 조언을 학수고대하고 있습니다. 합성은 조금 힘들어도 상관없습니다. >관련한 조언이나 문헌을 추천해주신다면 제 리서취라이프에 굉장히 큰 도움이 될겁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hanks in Advance~~~ 이 분야의 전문가 소개해 드릴게요..저도 도움을 받았는데요.. 메일로 문의하시면 성의껏 답변 해 주실겁니다. 경쟁사에 계신 분이 아니라면 말이죠.^^ 코오롱에서 연구하시는 분인데요.. Sang-Min Song ( 宋 相旻 ), Ph.D. Senior Researcher / Chief of PI Lab. Chemicals Research Institute Kolon Central Research Park TEL : 82-31-280-8630 FAX : 82-31-280-8599 CP : 82-16-771-2719 E-mail: smsong@kolon.co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