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02
org.kosen.entty.User@561e811c
마보영(cclc)
- 3
어떤 조직에서 물질을 분리했는데 그 물질이 단백질이라는 증명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
UV 흡광도, lowry 시험 등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나요?
그리고... 분자량이 8000 정도 되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나요??
도와주세요ㅜ
- prote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2010-01-12- 2
>어떤 조직에서 물질을 분리했는데 그 물질이 단백질이라는 증명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UV 흡광도, lowry 시험 등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나요?>>>그리고... 분자량이 8000 정도 되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나요??>>도와주세요ㅜ UV 280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내면 되구요. 전기영동으로 단일 밴드도 확인하여야 하구요. 아미노산 성분 분석, 당분석 등을 추가로 하여야 증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2006-11-03- 0
> > >어떤 조직에서 물질을 분리했는데 그 물질이 단백질이라는 증명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 >UV 흡광도, lowry 시험 등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나요? > > >그리고... 분자량이 8000 정도 되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나요?? > >도와주세요ㅜ 조직에서 분리를 해서 어떤 과정을 거쳐서 물질이 최종적인 상태가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purity가 생명입니다. 일단 단백질이 있다고 판단이 되더라도 모두가 단백질이냐는 또 다른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E. coli에서 만든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여보면 여기에 상당량의 E. coli 단백질 및 endotoxin(당 류)가 혼합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UV, Lowry도 좋은 방법 중 하나이지만, 아미노산 분석을 해보면 어떨까요? 그리고, 조직에 존재하는 가장 대표적인 비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당류))을 측정해서 불순물의 정도를 알아보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물론 단백질이 무엇인가를 알기 위해서는 spectrophotometry, MALDI-TOP, N-terminal sequencing등을 이용하시면 되겠지요.. 이때도 역시 순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분자량에 따른 molecular cut off 재료 및 기구들이 있습니다. Dialysis를 해주거나 요즘은 spin을 해서 불필요한 부분을 버리거나 필요한 부분을 취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좋은 실험되세요..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1-16- 0
>어떤 조직에서 물질을 분리했는데 그 물질이 단백질이라는 증명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UV 흡광도, lowry 시험 등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나요?>>>그리고... 분자량이 8000 정도 되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나요??>>도와주세요ㅜ 기본적으로 언급한 280 nm 부근 에서의 UV absorbance와 Biuret 반응, Xanthopotein 반응, 황화납 반응, Ninhydrin 반응등으로 정성분석이 가능합니다. Biuret법, Lowry법등은 정량분석에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질량분석법으로 분석이 가능하며 왠만한 단백질들에 대해서는 library가 구축되어져 있어서 database화 되어졌기 때문에 좀 더 쉽게 분석이 가능합니다. 특히, MALDI-TOF MS나 MALDI-TOF-TOF MS등으로 분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