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모유에서 유산균이 나올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요새 probiotic 분야가 우리나라에서도 여기저기서 연구도 되고 있고 산업화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들어 probiotic에서 가장 중요한 lactic acid bacteria의 분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구요. 그리고 인간의 모유에서 lactic acid bacteria가 분리되고 최근에 그 microorganism을 이용해서 음료도 나오구 있구요. Lactic acid bacteria가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맞나? ㅎㅎ)로 인정받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분들도 알고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문제는!!! 인간의 모유는 유선에서 만들어지는 체액성 물질인데 거기서 lactic acid bacteria가 어떻게 나올수 있었을까요? 친구들이랑 이런얘기 저런얘기를 하다가 어떤 친구가 이문제를 제시했거든요. 친구들이 대부분 생물학전공이라서...ㅋㅋ 여러의견들이 있었죠. 1. 유산균이니까 나와도 문제없다. 2. 균이 어떻게 유선안으로 들어가서 생기는냐? 만약에 그런 penetration이 있으면 그건 위험한거 아니냐? 3. 아마도 묻어있는 유산균일꺼다. 등등 여러 의견이 나왔습니다. 논문을 찾아봐도 딱히 정답을 주지 않네요. commensal microbiota라는 말로 대신할뿐!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떤지요? Lactic acid bacteria가 어떻게 모유에서 분리가 되고 또한 어떻게 유선안에 있을수 있을까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 Probiotic
  • human milk
  • lactic acid bacteri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정장호님의 답변

    모유의 성분을 살펴보면 3%--5% 지방, 0.8%--0.9% 단백질, 6.9%--7.2% 탄수화물(유당을 기준하여), 그리고 0.2% 미네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참조:Semin Perinatol. 1979 Jul;3(3):225-39). 탄수화물 중 많은 올리고당이 존재하며 이 올리고당이 유아의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보고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probiotic의 대표균인 bifidobacteria는 모유를 아이에게 수유할때 아기의 대장내의 주요균으로 증식하나 분유를 먹이는 아이에게는 그 균수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많이 알려진 사실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인체조직은 표피세포나 식도에서 대장에 이르는 곳을 빼고는 무균의 상태로 알려지고 있는데 유선에 유산균이 자라고 있다는 이야기는 좀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질문 중 “인간의 모유에서 lactic acid bacteria가 분리되고 최근에 그 microorganism을 이용해서 음료도 나오구 있구요.“ 의 내용에서 아마도 1) 모유에 선택적으로 유산균을 접종하여 우세하게 성장하는 균을 찾아 이를 음료에 사용한 것인지 2) 자연적으로 수유하는 어머니의 표피세포 중의 유산균이 모유에 오염되어 선택되었다는 내용인지 아니면 3)인체내 유선의 오염인지를 명확히 해야할 것 같습니다. 질문의 내용을 어디서 확인하셨는지 다시 묻고 싶습니다. 본인이 생각하기에는 1)번이나 2)번일 경우라고 생각되어지며 3)일 경우는 거의 희박하다고 생각되어집니다. 다시한번 질문의 내용이 정확한 연구자료인지를 확인하시고 연구된 자료를 갖고 계시면 제게 보내주십시요. 다시 정리해서 답변드리도록 하지요. 궁금하신 질문에 답변이 되었는지요.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정장호드림 >요새 probiotic 분야가 우리나라에서도 여기저기서 연구도 되고 있고 산업화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들어 probiotic에서 가장 중요한 lactic acid bacteria의 분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구요. 그리고 인간의 모유에서 lactic acid bacteria가 분리되고 최근에 그 microorganism을 이용해서 음료도 나오구 있구요. > >Lactic acid bacteria가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맞나? ㅎㅎ)로 인정받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분들도 알고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 >문제는!!! >인간의 모유는 유선에서 만들어지는 체액성 물질인데 거기서 lactic acid bacteria가 어떻게 나올수 있었을까요? 친구들이랑 이런얘기 저런얘기를 하다가 어떤 친구가 이문제를 제시했거든요. 친구들이 대부분 생물학전공이라서...ㅋㅋ > >여러의견들이 있었죠. >1. 유산균이니까 나와도 문제없다. >2. 균이 어떻게 유선안으로 들어가서 생기는냐? 만약에 그런 penetration이 있으면 그건 위험한거 아니냐? >3. 아마도 묻어있는 유산균일꺼다. >등등 여러 의견이 나왔습니다. > >논문을 찾아봐도 딱히 정답을 주지 않네요. commensal microbiota라는 말로 대신할뿐! >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떤지요? > >Lactic acid bacteria가 어떻게 모유에서 분리가 되고 또한 어떻게 유선안에 있을수 있을까요?? > >고견 부탁드립니다. >
    모유의 성분을 살펴보면 3%--5% 지방, 0.8%--0.9% 단백질, 6.9%--7.2% 탄수화물(유당을 기준하여), 그리고 0.2% 미네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참조:Semin Perinatol. 1979 Jul;3(3):225-39). 탄수화물 중 많은 올리고당이 존재하며 이 올리고당이 유아의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보고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probiotic의 대표균인 bifidobacteria는 모유를 아이에게 수유할때 아기의 대장내의 주요균으로 증식하나 분유를 먹이는 아이에게는 그 균수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많이 알려진 사실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인체조직은 표피세포나 식도에서 대장에 이르는 곳을 빼고는 무균의 상태로 알려지고 있는데 유선에 유산균이 자라고 있다는 이야기는 좀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질문 중 “인간의 모유에서 lactic acid bacteria가 분리되고 최근에 그 microorganism을 이용해서 음료도 나오구 있구요.“ 의 내용에서 아마도 1) 모유에 선택적으로 유산균을 접종하여 우세하게 성장하는 균을 찾아 이를 음료에 사용한 것인지 2) 자연적으로 수유하는 어머니의 표피세포 중의 유산균이 모유에 오염되어 선택되었다는 내용인지 아니면 3)인체내 유선의 오염인지를 명확히 해야할 것 같습니다. 질문의 내용을 어디서 확인하셨는지 다시 묻고 싶습니다. 본인이 생각하기에는 1)번이나 2)번일 경우라고 생각되어지며 3)일 경우는 거의 희박하다고 생각되어집니다. 다시한번 질문의 내용이 정확한 연구자료인지를 확인하시고 연구된 자료를 갖고 계시면 제게 보내주십시요. 다시 정리해서 답변드리도록 하지요. 궁금하신 질문에 답변이 되었는지요.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정장호드림 >요새 probiotic 분야가 우리나라에서도 여기저기서 연구도 되고 있고 산업화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들어 probiotic에서 가장 중요한 lactic acid bacteria의 분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구요. 그리고 인간의 모유에서 lactic acid bacteria가 분리되고 최근에 그 microorganism을 이용해서 음료도 나오구 있구요. > >Lactic acid bacteria가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맞나? ㅎㅎ)로 인정받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분들도 알고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 >문제는!!! >인간의 모유는 유선에서 만들어지는 체액성 물질인데 거기서 lactic acid bacteria가 어떻게 나올수 있었을까요? 친구들이랑 이런얘기 저런얘기를 하다가 어떤 친구가 이문제를 제시했거든요. 친구들이 대부분 생물학전공이라서...ㅋㅋ > >여러의견들이 있었죠. >1. 유산균이니까 나와도 문제없다. >2. 균이 어떻게 유선안으로 들어가서 생기는냐? 만약에 그런 penetration이 있으면 그건 위험한거 아니냐? >3. 아마도 묻어있는 유산균일꺼다. >등등 여러 의견이 나왔습니다. > >논문을 찾아봐도 딱히 정답을 주지 않네요. commensal microbiota라는 말로 대신할뿐! >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떤지요? > >Lactic acid bacteria가 어떻게 모유에서 분리가 되고 또한 어떻게 유선안에 있을수 있을까요?? > >고견 부탁드립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성욱님의 답변

    코에서 폐까지, 여성의 질, 구강에서 시작하여 항문으로 연결된 GI tract외에는 정상적으로 박테리아가 서식할수 없습니다. 간혹 유선내 세균감염에 의해 염증이 생겨 화농성 병변이 되며 절개에 의해 배농치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상적인 gland는 도관내로 역류하여 세균이 들어올 수는 있으나 구강과 같이 침이 운반할수는 있으며 타액선 도관내에서 돌을 만들기도 합니다.그러나 유방의 경우는 불가능합니다. >요새 probiotic 분야가 우리나라에서도 여기저기서 연구도 되고 있고 산업화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들어 probiotic에서 가장 중요한 lactic acid bacteria의 분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구요. 그리고 인간의 모유에서 lactic acid bacteria가 분리되고 최근에 그 microorganism을 이용해서 음료도 나오구 있구요. > >Lactic acid bacteria가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맞나? ㅎㅎ)로 인정받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분들도 알고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 >문제는!!! >인간의 모유는 유선에서 만들어지는 체액성 물질인데 거기서 lactic acid bacteria가 어떻게 나올수 있었을까요? 친구들이랑 이런얘기 저런얘기를 하다가 어떤 친구가 이문제를 제시했거든요. 친구들이 대부분 생물학전공이라서...ㅋㅋ > >여러의견들이 있었죠. >1. 유산균이니까 나와도 문제없다. >2. 균이 어떻게 유선안으로 들어가서 생기는냐? 만약에 그런 penetration이 있으면 그건 위험한거 아니냐? >3. 아마도 묻어있는 유산균일꺼다. >등등 여러 의견이 나왔습니다. > >논문을 찾아봐도 딱히 정답을 주지 않네요. commensal microbiota라는 말로 대신할뿐! >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떤지요? > >Lactic acid bacteria가 어떻게 모유에서 분리가 되고 또한 어떻게 유선안에 있을수 있을까요?? > >고견 부탁드립니다. >
    코에서 폐까지, 여성의 질, 구강에서 시작하여 항문으로 연결된 GI tract외에는 정상적으로 박테리아가 서식할수 없습니다. 간혹 유선내 세균감염에 의해 염증이 생겨 화농성 병변이 되며 절개에 의해 배농치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상적인 gland는 도관내로 역류하여 세균이 들어올 수는 있으나 구강과 같이 침이 운반할수는 있으며 타액선 도관내에서 돌을 만들기도 합니다.그러나 유방의 경우는 불가능합니다. >요새 probiotic 분야가 우리나라에서도 여기저기서 연구도 되고 있고 산업화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들어 probiotic에서 가장 중요한 lactic acid bacteria의 분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구요. 그리고 인간의 모유에서 lactic acid bacteria가 분리되고 최근에 그 microorganism을 이용해서 음료도 나오구 있구요. > >Lactic acid bacteria가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맞나? ㅎㅎ)로 인정받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분들도 알고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 >문제는!!! >인간의 모유는 유선에서 만들어지는 체액성 물질인데 거기서 lactic acid bacteria가 어떻게 나올수 있었을까요? 친구들이랑 이런얘기 저런얘기를 하다가 어떤 친구가 이문제를 제시했거든요. 친구들이 대부분 생물학전공이라서...ㅋㅋ > >여러의견들이 있었죠. >1. 유산균이니까 나와도 문제없다. >2. 균이 어떻게 유선안으로 들어가서 생기는냐? 만약에 그런 penetration이 있으면 그건 위험한거 아니냐? >3. 아마도 묻어있는 유산균일꺼다. >등등 여러 의견이 나왔습니다. > >논문을 찾아봐도 딱히 정답을 주지 않네요. commensal microbiota라는 말로 대신할뿐! >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떤지요? > >Lactic acid bacteria가 어떻게 모유에서 분리가 되고 또한 어떻게 유선안에 있을수 있을까요?? > >고견 부탁드립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