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경피흡수 실험관련

경피흡수 실험에 관련하여 질문좀 드리려고 합니다.. 이분야에 대해선 잘몰라서요! 일단 자료조사를 좀 해보았는데 주로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많이 사용하고 사용하는 membrane은 mouse skin, porcine skin, human cadaver skin등 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경피흡수 실험에 사용할 시료가 많아서 일단 screening 수준에서 위와같은 동물모델의 피부를 사용하지 않고 대체로 사용할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가장 추천해 주실 membrane은?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얼핏 논문에서는 polyethylene, cellulose, teflon membrane등을 이용하기도 하는듯 하던데요? 제가 직접실험을 해야 해서요... 혹 3D culutre system 등도 고려할수 있겠지요??? 혹 가격도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 skin penetr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인창훈님의 답변

    >경피흡수 실험에 관련하여 질문좀 드리려고 합니다.. > >이분야에 대해선 잘몰라서요! > >일단 자료조사를 좀 해보았는데 > >주로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많이 사용하고 > >사용하는 membrane은 mouse skin, porcine skin, human cadaver skin등 > >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경피흡수 실험에 사용할 시료가 많아서 일단 screening 수준에서 > >위와같은 동물모델의 피부를 사용하지 않고 대체로 사용할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 > >가장 추천해 주실 membrane은? >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얼핏 논문에서는 polyethylene, cellulose, teflon membrane등을 이용하기도 하는듯 > >하던데요? > >제가 직접실험을 해야 해서요... > >혹 3D culutre system 등도 고려할수 있겠지요??? > >혹 가격도 알고 싶습니다... > >부탁드리겠습니다.> 경피 시험에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많이 사용하는건 맞습니다. 저희도 그걸 주로 사용은 하는데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일단은 스크리닝하는데 마우스스킨이 가장 쉬울꺼 같습니다. 헤어리스마우스를 키우셔셔 사용하는게 가장 쉽고 빠르겠습니다 보유를 하시면 사료정도값밖엔 그리 비용이 많이 드는 것도 아니구요. 돼지피부는 두꺼워서 일정두께로 만드는 것도 어려울 뿐 아니라 그냥 일반돼지가 아니라 사용하는 돼지가 있습니다. 수입하는 걸로 압니다. 비용 많이 들구요 그리고 사람의 경우엔 외국에서 수입해서 들어오는데 요즘 이런 생체시료들에 대한 KDA에서의 관리 강화로 입수에도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당연히 비용많이 듭니다. 스크리링 단계시라니 마우스 스킨 하셔셔 하시는게 현실적이라 봅니다. Franz cell에 들어가는 피부해봐야 cell에 구멍사이즈가 1cm 정도니 한마리만 벗겨도 5개 6개 정도 사용가능합니다. 돼지나 사람은 피부벗긴지 오래되어서 세포가 죽어있으니 fresh한 마우스 스킨이 좋을꺼 같네요. 3D 컬쳐는 컬쳐비용이 상당합니다. 메트리젤이란걸 쓰는데 상당히 고가입니다. 키우는데 시간도 많이 들고 그렇네요.
    >경피흡수 실험에 관련하여 질문좀 드리려고 합니다.. > >이분야에 대해선 잘몰라서요! > >일단 자료조사를 좀 해보았는데 > >주로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많이 사용하고 > >사용하는 membrane은 mouse skin, porcine skin, human cadaver skin등 > >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경피흡수 실험에 사용할 시료가 많아서 일단 screening 수준에서 > >위와같은 동물모델의 피부를 사용하지 않고 대체로 사용할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 > >가장 추천해 주실 membrane은? >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얼핏 논문에서는 polyethylene, cellulose, teflon membrane등을 이용하기도 하는듯 > >하던데요? > >제가 직접실험을 해야 해서요... > >혹 3D culutre system 등도 고려할수 있겠지요??? > >혹 가격도 알고 싶습니다... > >부탁드리겠습니다.> 경피 시험에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많이 사용하는건 맞습니다. 저희도 그걸 주로 사용은 하는데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일단은 스크리닝하는데 마우스스킨이 가장 쉬울꺼 같습니다. 헤어리스마우스를 키우셔셔 사용하는게 가장 쉽고 빠르겠습니다 보유를 하시면 사료정도값밖엔 그리 비용이 많이 드는 것도 아니구요. 돼지피부는 두꺼워서 일정두께로 만드는 것도 어려울 뿐 아니라 그냥 일반돼지가 아니라 사용하는 돼지가 있습니다. 수입하는 걸로 압니다. 비용 많이 들구요 그리고 사람의 경우엔 외국에서 수입해서 들어오는데 요즘 이런 생체시료들에 대한 KDA에서의 관리 강화로 입수에도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당연히 비용많이 듭니다. 스크리링 단계시라니 마우스 스킨 하셔셔 하시는게 현실적이라 봅니다. Franz cell에 들어가는 피부해봐야 cell에 구멍사이즈가 1cm 정도니 한마리만 벗겨도 5개 6개 정도 사용가능합니다. 돼지나 사람은 피부벗긴지 오래되어서 세포가 죽어있으니 fresh한 마우스 스킨이 좋을꺼 같네요. 3D 컬쳐는 컬쳐비용이 상당합니다. 메트리젤이란걸 쓰는데 상당히 고가입니다. 키우는데 시간도 많이 들고 그렇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