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7
org.kosen.entty.User@5bfc7096
전영주(3ranger3)
- 2
사용후 핵연료처리의 방법의 하나인 PUREX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항상 추운데 감기 조심하세요..^^
- purex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호진님의 답변
2006-11-18- 0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는 크게 건식과 습식 처리 방식으로 구별됩니다. 건식은 IFR, 고온야금(금속전해 등), 휘발법 등이 있으며 현재 핵비확산저항성을 향상한 Pyro-process 등이 개발중입니다. 습식은 크게 침전법과 용매추출법으로 구별되며 용애추출법중 대표적인 상용 기술이 Purex 기법입니다. 현재는 PUREX에서 핵비확산저항성은 높인 UREX+(Pu을 단독으로 추출하지 않고 다른 Actinide들과 함께 혼합된 상태로 추출) 기법의 상용화 추진중입니다. PUREX : Plutonium & Uranium Recovery Extraction 용매추출이란? • 수용액과 용매(TBP)가 서로 서로 접한 계면에서 추출하려는 물질(U, Pu)이 용매와 착화합물을 만들어 용매측으로 옮겨가는 것이다. •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함유한 질산수용액과 용매를 동일용기에 넣어 충분히 교반한 후 정치(靜置)하면 서로 녹지 않는 성질(물과 기름)에 의해 두개의 상(相)으로 나누어 지며, 이 때 성분(용질)은 두 개의 상으로 일정한 비율로(평형상태에서) 분배된다. • 이 비율을 분배계수(kd)라 하며 kd값은 성분원소의 종류 및 원자가, 수용액의 산농도, 온도, 용매조성 등에 따라 정해진다. • 목적하는 물질의 거의 전량을 추출하고 싶은 경우 추출단위조작을 되풀이한다. • 다단화에 있어 각단에서 새로운 용매를 가하면 전체의 용매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새로운 용매가 아니고 다음 단의 용질을 보다 적게 함유하고 있는 용매를 사용 한다. • 이와 같이 하면 각단의 단위조작간에서 유기상과 수용액상이 반대방향으로 주고 받게 된다. 이것을 다단향류방식이라 한다. • 수용액상의 질산농도가 낮아지면 우라늄의 유기상으로의 분배계수는 감소한다. 따라서 우라늄을 함유한 유기상을 물 또는 희석질산과 교반, 정치하면 우라늄의 대부분은 수용액상으로 옮겨 간다. 이것을 역추출이라 한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10-01-07- 0
대규모의 재처리가 시작된 것은 미국의 맨해턴계획에 의하여 플루토늄 생산로에서 배출되는 핵연료로부터 플루토늄을 회수하여 원폭 제조를 그 목적으로 삼던 1940년대 전반의 일이었다. 제 2차 세계대전이 한창 진행 중이던 이 무렵 미국은 조기 전쟁 종식을 목표로 농축우라늄과 플루토늄을 원료로 원폭을 제조하였다. 그 당시는 재처리를 통해서 플루토늄 만을 회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침전조작에 의하여 플루토늄만을 회수 하는 인산비스무스법을 사용하였고 이것이 최초의 재처리 방식이었다. 이 방법은 우라늄을 회수하지 않고 핵분열생성물과 함께 폐기물로 버리도록 고안된 것이었다. 그 후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동시에 회수하기 위한 용매 추출법이 개발되었으며 REDOX법, BUTEX법 및 PUREX법 등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이들 중 가장 우수한 PUREX 공정만이 상용화되어 지금까지 대규모 재처리 시설에 사용되고 있다. 원자로 및 핵연료의 발달과 함께 재처리 기술도 점차 향상되어 왔으며 현재 영국과 프랑스는 가스냉각로와 경수로 핵연료를 상용으로 재처리 하고 있다. 한편, 고속로의 경우는 원자로의 안전성과 경제성 문제로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지만 일본, 프랑스, 러시아 등 몇몇 국가에서는 고속로 핵연료의 재처리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참고로 사이트를 소개한다. >사용후 핵연료처리의 방법의 하나인 PUREX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습니다.>>항상 추운데 감기 조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