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surface plasmon resonance bands) 이란??

도대체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surface plasmon resonance bands) 이 무엇이죠?? 아님 표면 플라스몬 공명이 무엇인지라도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4613
  • 4613
  • 4613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조주웅님의 답변

    >도대체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surface plasmon resonance bands) 이 무엇이죠?? >아님 표면 플라스몬 공명이 무엇인지라도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microoptics.hanyang.ac.kr/home/spr/index.html http://www.scieng.net/zero/view.php?category=&desc=asc&id=tech&keyword=&no=2255&sc=on&select_arrange=headnum&sn=off&ss=on
    >도대체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surface plasmon resonance bands) 이 무엇이죠?? >아님 표면 플라스몬 공명이 무엇인지라도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microoptics.hanyang.ac.kr/home/spr/index.html http://www.scieng.net/zero/view.php?category=&desc=asc&id=tech&keyword=&no=2255&sc=on&select_arrange=headnum&sn=off&ss=on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혜정님의 답변

    >도대체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surface plasmon resonance bands) 이 무엇이죠?? >아님 표면 플라스몬 공명이 무엇인지라도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대학생인점을 참조해서 설명해드립니다. SPR에 대해 쉽게 설명하면... 금속과 유전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자밀도진동 현상입니다. 금속 표면 위 매질의 유전상수에 따라 입사빔에 대한 굴절률이 변하게 되는데 이 원리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분야가 바이오센서 PART입니다. 금속 표면위에 바이오물질의 고정화 실험을 할 경우(즉, 금속 표면위에 DNA가 있는지 없는지 혹은 그 물질의 고정화 전후의 굴절률 차를 보고 바이오물질의 유무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센서의 경우 고정화되는 바이오물질의 크기는 evanescent wave 내에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실험하고 있는 DNA나 단백질은 그 파장 내에서 측정되는 크기이므로 상관없다고 합니다. 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
    >도대체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surface plasmon resonance bands) 이 무엇이죠?? >아님 표면 플라스몬 공명이 무엇인지라도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대학생인점을 참조해서 설명해드립니다. SPR에 대해 쉽게 설명하면... 금속과 유전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자밀도진동 현상입니다. 금속 표면 위 매질의 유전상수에 따라 입사빔에 대한 굴절률이 변하게 되는데 이 원리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분야가 바이오센서 PART입니다. 금속 표면위에 바이오물질의 고정화 실험을 할 경우(즉, 금속 표면위에 DNA가 있는지 없는지 혹은 그 물질의 고정화 전후의 굴절률 차를 보고 바이오물질의 유무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센서의 경우 고정화되는 바이오물질의 크기는 evanescent wave 내에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실험하고 있는 DNA나 단백질은 그 파장 내에서 측정되는 크기이므로 상관없다고 합니다. 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육종설님의 답변

    >도대체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surface plasmon resonance bands) 이 무엇이죠?? >아님 표면 플라스몬 공명이 무엇인지라도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 표면 플라즈몬(surface plasmon)은 surface plasmon-polariton(SPP)라고도 불리는데 금속과 유전체 계면에 생기는 전자기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프리즘/금박막/공기와 같은 구조에서 임계각 이상으로 p-편광된 빛을 입사시킬때 입사된 빛의 수평한 방향의 파수벡터와 표면플라즈몬의 파수 벡터가 일치할때 공명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라고한다. 금속 표면에 나노미터 크기의 구멍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주면 격자 운동량이 생기는데,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격자 계에서 파동함수가 구멍의 위치에 따라 sin(2mpi/a)x 또는 cos(2mpi/a)x 꼴을 가지 느냐에 따른 에너지 차이에 의하여 밴드갭이 결정된다. 이러한 밴드갭이 입사각에 의한 투과 실험을 하게되면 나타나고, 이것을 플라즈몬밴드밴드라고한다. 참고 문헌: J. Homola et al., Sensors and Actuators B 54, 3 (1999) S.C. Hohng et al., Appl. Phys. Lett. 81, 3289 (2002)
    >도대체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surface plasmon resonance bands) 이 무엇이죠?? >아님 표면 플라스몬 공명이 무엇인지라도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 표면 플라즈몬(surface plasmon)은 surface plasmon-polariton(SPP)라고도 불리는데 금속과 유전체 계면에 생기는 전자기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프리즘/금박막/공기와 같은 구조에서 임계각 이상으로 p-편광된 빛을 입사시킬때 입사된 빛의 수평한 방향의 파수벡터와 표면플라즈몬의 파수 벡터가 일치할때 공명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라고한다. 금속 표면에 나노미터 크기의 구멍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주면 격자 운동량이 생기는데,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격자 계에서 파동함수가 구멍의 위치에 따라 sin(2mpi/a)x 또는 cos(2mpi/a)x 꼴을 가지 느냐에 따른 에너지 차이에 의하여 밴드갭이 결정된다. 이러한 밴드갭이 입사각에 의한 투과 실험을 하게되면 나타나고, 이것을 플라즈몬밴드밴드라고한다. 참고 문헌: J. Homola et al., Sensors and Actuators B 54, 3 (1999) S.C. Hohng et al., Appl. Phys. Lett. 81, 3289 (200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동하님의 답변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surface plasmon resonance bands)란 metallic nanostructure의 UV-visible spectrum에서 관찰되는 강하고 넓은 흡수peak을 말하며 Mie resonance라고도 합니다. 이는 금속과 dielectric material의 계면 근처에 존재하는 자유전자의 집합적인 진동운동 (collective oscillation)에 의한 wave와 incident light간에 에너지와 momentum이 일치하는 조건하에 일어나는 공명 때문에 관찰되는 현상입니다. SPR band는 크게 localized SPR (LSPR)와 propagating surface plasmon polariton (SPP)의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SPR band의 특징이나 유용성으로는 빛을 나노공간에 가둘 수 있다는 점과 공명의 결과 발생하는 field의 강도가 입사빔의 그것보다 10~10,000배 정도 증강하는 점입니다.
    표면 플라스몬 공명밴드(surface plasmon resonance bands)란 metallic nanostructure의 UV-visible spectrum에서 관찰되는 강하고 넓은 흡수peak을 말하며 Mie resonance라고도 합니다. 이는 금속과 dielectric material의 계면 근처에 존재하는 자유전자의 집합적인 진동운동 (collective oscillation)에 의한 wave와 incident light간에 에너지와 momentum이 일치하는 조건하에 일어나는 공명 때문에 관찰되는 현상입니다. SPR band는 크게 localized SPR (LSPR)와 propagating surface plasmon polariton (SPP)의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SPR band의 특징이나 유용성으로는 빛을 나노공간에 가둘 수 있다는 점과 공명의 결과 발생하는 field의 강도가 입사빔의 그것보다 10~10,000배 정도 증강하는 점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