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22
org.kosen.entty.User@502e3149
김성관(samson0812)
- 1
CNT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그리고 purification하기 위해 산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때 defect 되는 wall에 -OH, -COOH기가 붙는다고 하는데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산처리 과정에서 H+가 나오고 물이 있기 때문에 OH-가 나오는 건 알겠는데...COOH가 형성이 되거나 공유결합으로 CNT벽면에 붙게 되는 메카니즘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어요.
논문을 보면 막연히 그런 작용기가 붙는다~라고 나오는데요..
부탁드립니다~
- carbon nanotube
- functional group
- oxid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한철종님의 답변
2006-11-28- 0
> CNT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그리고 purification하기 위해 산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때 defect 되는 wall에 -OH, -COOH기가 붙는다고 하는데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 산처리 과정에서 H+가 나오고 물이 있기 때문에 OH-가 나오는 건 알겠는데...COOH가 형성이 되거나 공유결합으로 CNT벽면에 붙게 되는 메카니즘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어요. > 논문을 보면 막연히 그런 작용기가 붙는다~라고 나오는데요.. > 부탁드립니다~ 산처리시 발생하는 defect 에 의해 C6 아로마틱 링 구조가 깨지게 되면서 말단에 탄소 활성 원자가 발생하게 되는데 (산처리기 때문에 carbo cation 생성)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음전하를 지닌 OH- 계열이 붙어주어야 하구요, 산화 분위기에서 C-OH 가 산화되면 C=O, 한번더 산화되면 C(=O)-OH 로 산이 형성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