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23
org.kosen.entty.User@53a8edee
정광남(impinhan)
- 3
PET의 표면에 반응기가 존재하지 않아 기본적으로 기능화하기가 힘듭니다.
따라서 플라즈마, 전자빔, UV 등을 사용하여 표면에 반응기를 만들어서
기능화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조차도 반응 사이트를 다량으로 만들수가 없어서 PET 표면에서의 탈락이 발생하여 아주 효과적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비용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이지 못하고...
질문은 PET필름이나 섬유 표면에 10~100nm 정도의 반응기가 있는 박막을 형성하고 이후 기능화를 한다면 어느정도의 효과가 있을까요??
플라즈마, 전자빔 처리 등과 비교해서 어느정도 효과가 있겠습니까?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PET
- functionalization
- textil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정광남님의 답변
2006-11-24- 0
현재 섬유산업에 플라즈마, 전자빔등을 이용하여 PET의 기능화를 하고 있습니다. 에칭하여 표면적을 크게 하가나 라디칼을 형성하여 결합을 하게 되어도 PET의 경우는 내구성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나일론(polyamide), 면섬유의 경우 반응 사이트가 다량 존재하기 때문에 플라즈마 전자빔, 각종 처리를 통한 기능화가 손쉽게 되고 의류로 제작된 후 세탁시에도 기능기들이 탈락되지 않고 반 영구적인 기능성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PET의 경우 플라즈마나 전자빔을 사용하더라도 세탁시에 나일론이나 면섬유에 비해 효과가 많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드는 플라즈마나 전자빔이 아닌 방법으로 플라즈마나 전자빔을 사용한 정도의 기능성이나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하여 질문을 드렸습니다. 나도미터 수준의 박막을 형성하게 되면 PET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결합력이 상승되어 어느정도의 내구성이 나타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박막으로 인해 직물의 촉감이 변형되지 않는 수준에서 처리가 가능해야 됩니다. -
답변
김진철님의 답변
2006-11-24- 0
>PET의 표면에 반응기가 존재하지 않아 기본적으로 기능화하기가 힘듭니다. >따라서 플라즈마, 전자빔, UV 등을 사용하여 표면에 반응기를 만들어서 >기능화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조차도 반응 사이트를 다량으로 만들수가 없어서 PET 표면에서의 탈락이 발생하여 아주 효과적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비용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이지 못하고... > >질문은 PET필름이나 섬유 표면에 10~100nm 정도의 반응기가 있는 박막을 형성하고 이후 기능화를 한다면 어느정도의 효과가 있을까요?? > >플라즈마, 전자빔 처리 등과 비교해서 어느정도 효과가 있겠습니까? >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양성자 가속기로 PET Film 에 45KeV 까지 Ion Implanting 을 하고 있습니다. 대기압 프라즈마나 UV 로는 반응기를 깊이 있게 implanting 되기 어려워 빠른 Aging 이 잇게 마련입니다. 우린 이런 것을 극복하기 위해 가속 전압을 높이는데 양산성도 시도 중입니다. 박막과는 전혀 다른 법이므로 기능화 측면에서는 이 방법이 좋을 것 같아 개발 중입니다. 표면을 분석하기 위해 XPS, SEM 등 으로 분석 중입니다. STM 을 분석해 보려하는데 화학 전공이 아니다 보니 귀하의 조언도 필요하겠군요. -
답변
조주웅님의 답변
2006-11-24- 0
>PET의 표면에 반응기가 존재하지 않아 기본적으로 기능화하기가 힘듭니다. >따라서 플라즈마, 전자빔, UV 등을 사용하여 표면에 반응기를 만들어서 >기능화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조차도 반응 사이트를 다량으로 만들수가 없어서 PET 표면에서의 탈락이 발생하여 아주 효과적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비용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이지 못하고... > >질문은 PET필름이나 섬유 표면에 10~100nm 정도의 반응기가 있는 박막을 형성하고 이후 기능화를 한다면 어느정도의 효과가 있을까요?? > >플라즈마, 전자빔 처리 등과 비교해서 어느정도 효과가 있겠습니까? >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Paper * 플라즈마를 이용한 PTFE 수지의 표면 기능화 및 접착강화 - 플라즈마를 이용한 접촉이론 메카니즘 이론 - 화학적 (XPS), 물리적(SEM) * The effect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configuration on the surface modification of aromatic polymers - 화학적 (XPS), 물리적 (AFM) - 친수화 측정 : 접촉각 * Surface modification of PET film by a DBD device at atmospheric pressure - 물리적(AFM) - 친수화 측정 : 접촉각 2. 시편의 접촉각과 표면에너지 * 점착물성과 접촉각의 관계 - 접촉각 이론과 분석방법 제시 * Surface Tension for Typical Polymer & Substrates - 고분자 물질의 표면에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