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26
org.kosen.entty.User@3c4ff0ce
이택윤(roddem)
- 3
전 세계가 에너지난이 심각한 가운데 중국은 전력난 해결에 상당히 고심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중국 전력 현황과 향후 전력난에 대해 중국 정부나 기업이 기술적으로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전기를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응용기술이 있는데 중국의 동향을 알면 좀더 효과적으로 시장을 파고들 수 있으리라고 생각됩니다.
- power saving
- electric power
- energ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2006-11-26- 0
1.중국이 경제발전에 따른 최대 에너지 소비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해외 협력을 통하여 에너지 자원의 확보와 내부적으로 에너지절약(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국가 계획중 절약형 사회 및 환경우호형 건설을 위하여 에너지 절약을 국가 운동으로 하려는 목표)운동을 준비하고 있다. 아시아의 주변국인 일본과 한국도 이 부분에 대한 공동인식을 같이 하면서 국가 차원의 에너지 세일즈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16차 인민대회에서 표방된 “외세의 것을 유입하고 현재의 것을 이용하며 미래지향적 중국을 개척하자”라는 의미답게 과감히 개방하고 정보를 과감히 오픈하여 국민들에게 알리는 시기로 접어들었다. 이전에 얻기 어려웠던 자료나 정보들이 구체화되고 실제적인 중국의 에너지 정책과 대체에너지(재생에너지)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중간의 긴밀한 협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에너지 와 자원에 대한 권한과 사용은 국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중국 은 각 분야별로 중요한 정책이나 국가 주도 사업은 이전과 달리 온라인이나 보고서나 자료를 통하여 외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이런 흐름을 반영하듯 각 전문 기관에서는 중국의 에너지 동향이나 정책을 온라인 형태로 또는 Newsletter 형태로 발간하고 있다. 이에 발 빠르게 우리 한국도 상호간에 도움이 되는 중국과의 교류 및 협력을 여러 각도에서 추진하고 있지만 중국에 대하여 인식과 정보가 부족한 상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2.중국의 에너지 관련 향후 계획 (2006-2010년까지) - 에너지원 확보를 위한 중국의 관련 계획 부분을 정리하였다. (5개 주요항목 참고) 1)공업 에너지절약 : 주로 공업상에서 에너지소모가 심한 산품, 기술개선에 관한 연구. 2)석탄의 정제 및 고효율 개발, 이용과 액화 및 hybride 생산 3)복잡한 지질 조건의 천연오일 개스 자원 탐사 개발 이용 복잡 환경 및 암석지층 등에 대한 오일, 가스 자원 탐사와 개발. 4)재생가능한 에너지원의 저비용, 규모화 개발 이용 주로 바람, 태양, 생물 에너지, 지열 등 에너지에 대한 개발 이용 기술 5)초대규모 송전, 배전과 전기를 통해 놓은 철조망의 안전 보장 - 선진 에너지원 기술 확보를 위한 중국의 4 대 핵심 기술 개발 과제 1) 수소에너지 및 연료전지기술 2) 분포식 에너지 공급 기술 3) 쾌속 중성자반응 기술 4) 자기(磁)통제 핵융합 질문하신 부분에 대한 세부적인 답변입니다. 1.먼저 아래 첨부파일의 중국의 전력산업 현황에 대하여 정리하여 둔 것을 보내드립니다.(power_industry.doc) 2.그리고 관련 URL은 중국의 에너지 절약 핵심기술 몇가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혹시 중국어로 되어 있어 보기에 힘들다면 번역 요청을 하여 주십시요. 번역정리하여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jnw315.com/Html/2006-9-9/874.html 3.중국의 11.5 계획중 국민경제 사회발전 계획중 12장인 에너지 절약 공업에 대한 부분이 있습니다.(정책관련) http://www.rocese.com/zhengce/4.html 첨부 2 파일은 중국의 11.5 계획중 사회경제를 위한 정책관련으로 국가적인 관심사항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것입니다. >전 세계가 에너지난이 심각한 가운데 중국은 전력난 해결에 상당히 고심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중국 전력 현황과 향후 전력난에 대해 중국 정부나 기업이 기술적으로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전기를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응용기술이 있는데 중국의 동향을 알면 좀더 효과적으로 시장을 파고들 수 있으리라고 생각됩니다.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2006-11-29- 0
답변 URL 이 중국어로 되어 있어 한국어로 번역하여 파일로 첨부하여 올려드립니다. >전 세계가 에너지난이 심각한 가운데 중국은 전력난 해결에 상당히 고심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중국 전력 현황과 향후 전력난에 대해 중국 정부나 기업이 기술적으로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전기를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응용기술이 있는데 중국의 동향을 알면 좀더 효과적으로 시장을 파고들 수 있으리라고 생각됩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10-01-07- 0
중국의 전력산업은 11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제외하고 대부분 화력발전입니다. 그래서 최근 오래된 화력발전소를 약 2천만kW를 없애고 이를 신규로 설치하려 합니다. 이의 대부분을 원자력으로 대체하려 합니다. 원자력장기계획은 현재 1%에 불과한 점유율을 2020년까지 원자력을 50기를 운전하고 10년 후인 2030년까지 추가로 80기의 원전을 더 건설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의 에너지 사정을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데 전기의 효율을 기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에너지로 가겠다는 의지를 보여 주고 있는 것인데 아시다시피 이렇다하더라도 중국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됩니다.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 세계가 에너지난이 심각한 가운데 중국은 전력난 해결에 상당히 고심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중국 전력 현황과 향후 전력난에 대해 중국 정부나 기업이 기술적으로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전기를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응용기술이 있는데 중국의 동향을 알면 좀더 효과적으로 시장을 파고들 수 있으리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