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receptor에의한 protein recognization에 관한 질문있습니다.

cell의 membrane에 있는 리셉터에 의해 특정 프로틴이 바인딩하여 시그널이 전달되는 과정중, 리셉터에 의한 프로틴 인지에서 리셉터에 바인딩하는 프로틴의 특정 sequence가 있다면, 이 특정 시퀀스만 잘라내어 다른 프로틴에 conjugation시킨다면 리셉터가 인지할 수 있을까요? 즉, 프로틴이 변성되어도 리셉터가 인지할 수 있느냐는 건데요. 프로틴마다 다른지, 제 생각엔 당연히 conformation과 특정 sequence 등이 모두 작용해야 인지하여 바인딩할 수 있을꺼같은데, antigen의 epitope와 antibody의 cdr region이 바인딩할때 conformational epitope와 linear epitope가 있어서 linear epitope의 경우 프로틴이 변성이 되어도 epitope에 안티바디가 바인딩 할 수 있다고 들어서요.. angiogenesis과정중 angiogenin이 AngBP 리셉터에 바인딩하요 angiogenesis를 유도할 때 AngBP 리셉터에 붙는 안지오제닌의 특정 시퀀스 (60~68번 amino acid)를 이용하여 다른 프로틴에 fusion 시켜도 바인딩할 수 있을지 궁굼합니다.
  • receptor
  • angiogein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호진님의 답변

    질문을 다 이해하지 못해서 제가 이해한 부분에 한 해서 답변드립니다. 1.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은 특정한 구조가 관여하는 경우도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PDZ라는 도메인은 beta-strand 구조를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인식합니다. 나선구조는 인식하지 못한다는 이야기지요. WW 도메인은 프롤린-인산화 세린의 특정한 아미노산이 있는 경우에만 결합합니다. 결합하는 펩타이드의 구조 특성이 알려지지 않아서 아직 잘 알지 못합니다. 어떤 단백질들은 결합 단백질의 Loop라고 하는 특정한 이차 구조가 없는 부위와 결합을 합니다. 하지만 LOOP에는 결합에 필수인 아미노산들이 있지요. 결론적으로 어떤 계에서 실험을 하느냐에 따라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결합하는 부위를 다른 단백질에 연결시켜서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1번과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결합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3. 다른 단백질에 fusion을 시키시려는 이유를 알 수 없지만.. 만일 특정 부위를 아미노산이 중요하다면, 이 부분만을 화학적으로 합성해서 활성 여부를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cell의 membrane에 있는 리셉터에 의해 특정 프로틴이 바인딩하여 시그널이 전달되는 과정중, 리셉터에 의한 프로틴 인지에서 리셉터에 바인딩하는 프로틴의 특정 sequence가 있다면, 이 특정 시퀀스만 잘라내어 다른 프로틴에 conjugation시킨다면 리셉터가 인지할 수 있을까요? > 즉, 프로틴이 변성되어도 리셉터가 인지할 수 있느냐는 건데요. > 프로틴마다 다른지, 제 생각엔 당연히 conformation과 특정 sequence >등이 모두 작용해야 인지하여 바인딩할 수 있을꺼같은데, antigen의 epitope와 antibody의 cdr region이 바인딩할때 conformational epitope와 linear epitope가 있어서 linear epitope의 경우 프로틴이 변성이 되어도 epitope에 안티바디가 바인딩 할 수 있다고 들어서요.. > angiogenesis과정중 angiogenin이 AngBP 리셉터에 바인딩하요 angiogenesis를 유도할 때 AngBP 리셉터에 붙는 안지오제닌의 특정 시퀀스 (60~68번 amino acid)를 이용하여 다른 프로틴에 fusion 시켜도 바인딩할 수 있을지 궁굼합니다.
    질문을 다 이해하지 못해서 제가 이해한 부분에 한 해서 답변드립니다. 1.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은 특정한 구조가 관여하는 경우도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PDZ라는 도메인은 beta-strand 구조를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인식합니다. 나선구조는 인식하지 못한다는 이야기지요. WW 도메인은 프롤린-인산화 세린의 특정한 아미노산이 있는 경우에만 결합합니다. 결합하는 펩타이드의 구조 특성이 알려지지 않아서 아직 잘 알지 못합니다. 어떤 단백질들은 결합 단백질의 Loop라고 하는 특정한 이차 구조가 없는 부위와 결합을 합니다. 하지만 LOOP에는 결합에 필수인 아미노산들이 있지요. 결론적으로 어떤 계에서 실험을 하느냐에 따라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결합하는 부위를 다른 단백질에 연결시켜서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1번과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결합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3. 다른 단백질에 fusion을 시키시려는 이유를 알 수 없지만.. 만일 특정 부위를 아미노산이 중요하다면, 이 부분만을 화학적으로 합성해서 활성 여부를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cell의 membrane에 있는 리셉터에 의해 특정 프로틴이 바인딩하여 시그널이 전달되는 과정중, 리셉터에 의한 프로틴 인지에서 리셉터에 바인딩하는 프로틴의 특정 sequence가 있다면, 이 특정 시퀀스만 잘라내어 다른 프로틴에 conjugation시킨다면 리셉터가 인지할 수 있을까요? > 즉, 프로틴이 변성되어도 리셉터가 인지할 수 있느냐는 건데요. > 프로틴마다 다른지, 제 생각엔 당연히 conformation과 특정 sequence >등이 모두 작용해야 인지하여 바인딩할 수 있을꺼같은데, antigen의 epitope와 antibody의 cdr region이 바인딩할때 conformational epitope와 linear epitope가 있어서 linear epitope의 경우 프로틴이 변성이 되어도 epitope에 안티바디가 바인딩 할 수 있다고 들어서요.. > angiogenesis과정중 angiogenin이 AngBP 리셉터에 바인딩하요 angiogenesis를 유도할 때 AngBP 리셉터에 붙는 안지오제닌의 특정 시퀀스 (60~68번 amino acid)를 이용하여 다른 프로틴에 fusion 시켜도 바인딩할 수 있을지 궁굼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