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Avastin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제넨텍에서 개발한 Anti VEGF antibody, Avastin의 angiogenesis억제 과정에 관해 질문이있습니다. 아바스틴은 VEGF와 결합해 VEGF가 리셉터에 붙어 angiogenesis를 유도하는 것을 blocking한다고 하는데, 이 항체가 VEGF와 붙어 항체의 Fc region를 Fc receptor가 인지해서 VEGF를 destroy하거나 ingestion 시키기도 하는 건가요? 단순히 VEGF와 VEGF receptor의 바인딩을 막아 angiogenesis를 억제한다고만 나와있어서... 단순히 VEGF와 VEGF receptor의 바인딩을 막아주는 역활이라면 Fc region에 다른 프로틴을 퓨전시 키거나 할 수 있는건가요? anti VEGF antibody라 하면 2차항체인데, 왜 2차항체인지? 그냥 VEGF를 인지하는 Fab부분과 Fc를 붙여 chimeric antibody아닌가요? 2차항체는 Ig를 인식하여 검사할 떄 쓴다고 들었는데..
  • avastin
  • vegf
  • angiogenesi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구선영님의 답변

    저는 면역 및 항체 전문가는 아닙니다만, angiogenesis에 관련된 내용이라 간단하게 몇 자 적어보겠습니다. >제넨텍에서 개발한 Anti VEGF antibody, Avastin의 angiogenesis억제 과정에 관해 질문이있습니다. > >아바스틴은 VEGF와 결합해 VEGF가 리셉터에 붙어 angiogenesis를 유도하는 것을 blocking한다고 > >하는데, 이 항체가 VEGF와 붙어 항체의 Fc region를 Fc receptor가 인지해서 VEGF를 destroy하거 나 ingestion 시키기도 하는 건가요? 단순히 VEGF와 VEGF receptor의 바인딩을 막아 angiogenesis를 억제한다고만 나와있어서... 저 역시 아바스틴이 VEGF와 VEGFR간의 결합을 억제하여 angiogenesis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정도로 단순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질문을 듣고 보니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질문이네요. 보통 항체가 외부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하면 항체의 Fc 부분은 면역세포에 있는 Fc receptor에 binding하여 phagocytosis 내지 ADCC를 유도하게 됩니다. 아마도 Avastin 역시 VEGF에 결합하여 VEGF가 VEGF receptor와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뺏은 다음엔 Fc receptor를 만나 phagocytosis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바스틴이 anti-angiogenesis 효과를 나타내는 직접적인 원인은 VEGF-VEGFR로 이어지는 신호전달체계가 억제되기 때문이며, (아바스틴으로 인해) VEGFR에 결합하지 못한 VEGF는 세포내의 적당한 system에 의해 정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정리과정이 아바스틴의 anti-angiogenesis 효과에 약간의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만 (VEGF 양의 감소를 통해), 이는 부차적인 일이지 직접적인 원인은 아닐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아바스틴과 결합한 VEGF의 운명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만, 개인적으로 관련 자료를 갖고 있지는 않습니다.) > >단순히 VEGF와 VEGF receptor의 바인딩을 막아주는 역활이라면 Fc region에 다른 프로틴을 퓨전시키거나 할 수 있는건가요? 보통 항체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는 strategy로 항체 Fc 부위에 immunotoxin 등을 fusion시키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첨부하는 그림이 도움이 될지 모르겠네요. 따라서 이론상으로 다른 pretein을 fusion 시킬 수 있으나, VEGF antibody에는 굳이 다른 단백질을 붙이지 않아도 기능을 충분히 할 것으로 보이네요. > >anti VEGF antibody라 하면 2차항체인데, 왜 2차항체인지? 그냥 VEGF를 인지하는 Fab부분과 > >Fc를 붙여 chimeric antibody아닌가요? 2차항체는 Ig를 인식하여 검사할 ?? 쓴다고 들었는데.. > >2차항체라는 용어는 어떤 의미로 쓰였는지... western blot assay 등에서 말하는 2차항체를 말씀하시는 건 아닐 듯하고...혹시, 이런 내용의 질문이신지...알고 계시겠지만, 아바스틴은 처음에 murine anti-human VEGF monoclonal antibody (MuMAb VEGF A.4.6.1)으로 만들어졌고, 나중에 humanization 과정을 통해 humanized monoclonal antibody로 태어나게 되었습니다. 저도 항체를 만드는 과정은 정확하게 알지는 못합니다만, 아바스틴은 단순히 chimeric antibody 차원을 넘어 humanized MAb입니다. 항체의 주요 4가지 타입으로 murine, chimeric, humanized, human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하지요? Humanied 항체를 만드는 자세한 방법이 필요하시면 연락 주십시오.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분을 소개해 드릴 수 있습니다. 그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저는 면역 및 항체 전문가는 아닙니다만, angiogenesis에 관련된 내용이라 간단하게 몇 자 적어보겠습니다. >제넨텍에서 개발한 Anti VEGF antibody, Avastin의 angiogenesis억제 과정에 관해 질문이있습니다. > >아바스틴은 VEGF와 결합해 VEGF가 리셉터에 붙어 angiogenesis를 유도하는 것을 blocking한다고 > >하는데, 이 항체가 VEGF와 붙어 항체의 Fc region를 Fc receptor가 인지해서 VEGF를 destroy하거 나 ingestion 시키기도 하는 건가요? 단순히 VEGF와 VEGF receptor의 바인딩을 막아 angiogenesis를 억제한다고만 나와있어서... 저 역시 아바스틴이 VEGF와 VEGFR간의 결합을 억제하여 angiogenesis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정도로 단순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질문을 듣고 보니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질문이네요. 보통 항체가 외부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하면 항체의 Fc 부분은 면역세포에 있는 Fc receptor에 binding하여 phagocytosis 내지 ADCC를 유도하게 됩니다. 아마도 Avastin 역시 VEGF에 결합하여 VEGF가 VEGF receptor와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뺏은 다음엔 Fc receptor를 만나 phagocytosis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바스틴이 anti-angiogenesis 효과를 나타내는 직접적인 원인은 VEGF-VEGFR로 이어지는 신호전달체계가 억제되기 때문이며, (아바스틴으로 인해) VEGFR에 결합하지 못한 VEGF는 세포내의 적당한 system에 의해 정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정리과정이 아바스틴의 anti-angiogenesis 효과에 약간의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만 (VEGF 양의 감소를 통해), 이는 부차적인 일이지 직접적인 원인은 아닐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아바스틴과 결합한 VEGF의 운명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만, 개인적으로 관련 자료를 갖고 있지는 않습니다.) > >단순히 VEGF와 VEGF receptor의 바인딩을 막아주는 역활이라면 Fc region에 다른 프로틴을 퓨전시키거나 할 수 있는건가요? 보통 항체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는 strategy로 항체 Fc 부위에 immunotoxin 등을 fusion시키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첨부하는 그림이 도움이 될지 모르겠네요. 따라서 이론상으로 다른 pretein을 fusion 시킬 수 있으나, VEGF antibody에는 굳이 다른 단백질을 붙이지 않아도 기능을 충분히 할 것으로 보이네요. > >anti VEGF antibody라 하면 2차항체인데, 왜 2차항체인지? 그냥 VEGF를 인지하는 Fab부분과 > >Fc를 붙여 chimeric antibody아닌가요? 2차항체는 Ig를 인식하여 검사할 ?? 쓴다고 들었는데.. > >2차항체라는 용어는 어떤 의미로 쓰였는지... western blot assay 등에서 말하는 2차항체를 말씀하시는 건 아닐 듯하고...혹시, 이런 내용의 질문이신지...알고 계시겠지만, 아바스틴은 처음에 murine anti-human VEGF monoclonal antibody (MuMAb VEGF A.4.6.1)으로 만들어졌고, 나중에 humanization 과정을 통해 humanized monoclonal antibody로 태어나게 되었습니다. 저도 항체를 만드는 과정은 정확하게 알지는 못합니다만, 아바스틴은 단순히 chimeric antibody 차원을 넘어 humanized MAb입니다. 항체의 주요 4가지 타입으로 murine, chimeric, humanized, human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하지요? Humanied 항체를 만드는 자세한 방법이 필요하시면 연락 주십시오.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분을 소개해 드릴 수 있습니다. 그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