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11
org.kosen.entty.User@3af47550
- 2
S.aureus를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기본규막보유주인 2, 5, 8(항원)을 플레이트에 넣고...
그 위에 제가 분리한 균(항원)을 넣고... 그다음 2,5,8의 항체를 넣고...
rabbit IgG를 넣고... 발색제를 넣었습니다...
제가 분리한 균의 항원량을 알아보려고 하는데...
그렇니까...항원량이 많을수록 무색이 되는거죠... 제가 설명해도... 좀 그렇네요;;
선생님과 같이했을뿐...솔직히 정확히 이해를 하지 못했습니다...
전문가 분들의 도움을 필요로 합니다...
한국에서는 역가? 라고 하는거 같은데...
알아보기 쉽고 간단 명료하게 설명좀 해주셨으면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ELISA inhibi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동현님의 답변
2006-12-13- 0
역가를 구할때... serial dilution (여러 희석 배수로, 예를 들어 2배씩)하여 실험하고, 발색시켰을 때 그 O.D.(optical density)가 background (여기서는 plate에 coating하지 않고 항체 이후 과정은 똑같이 한 well에서의 O.D.를 이용하시면 되겠지요)의 몇배(예를 들어 3배, 또는 5배, 등등) 이상이 되는 희석배수를 구하면 그 희석배수의 역수가 역가(titer)가 됩니다. 예를들어 희석배수에 따라서 O.D.가 background 0.1 1:1000 0.2 1:2000 0.4 1:4000 0.7 일때 기준을 background의 3배로 한다면 그 sample의 역가는 0.1x3보다 큰 O.D.를 나타내는 최초 희석배수의 역수인 2000 이 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련지... ^^; >S.aureus를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 >기본규막보유주인 2, 5, 8(항원)을 플레이트에 넣고... > >그 위에 제가 분리한 균(항원)을 넣고... 그다음 2,5,8의 항체를 넣고... > >rabbit IgG를 넣고... 발색제를 넣었습니다... > >제가 분리한 균의 항원량을 알아보려고 하는데... > >그렇니까...항원량이 많을수록 무색이 되는거죠... 제가 설명해도... 좀 그렇네요;; > >선생님과 같이했을뿐...솔직히 정확히 이해를 하지 못했습니다... > >전문가 분들의 도움을 필요로 합니다... > >한국에서는 역가? 라고 하는거 같은데... > >알아보기 쉽고 간단 명료하게 설명좀 해주셨으면 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2006-12-13- 0
>S.aureus를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 >기본규막보유주인 2, 5, 8(항원)을 플레이트에 넣고... > >그 위에 제가 분리한 균(항원)을 넣고... 그다음 2,5,8의 항체를 넣고... > >rabbit IgG를 넣고... 발색제를 넣었습니다... > >제가 분리한 균의 항원량을 알아보려고 하는데... > >그렇니까...항원량이 많을수록 무색이 되는거죠... > >알아보기 쉽고 간단 명료하게 설명좀 해주셨으면 합니다... > ELISA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는 건 아실테구요.. 지금 하시려는 assay를 위해서는 1. 본인의 항원을 사용하기전에 1.1. 2, 5, 8 항원과 항체와의 반응을 정확히 셋팅하셔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 입니다. 1.2. 이때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 즉 cross activity (2, 5, 8 간의) 역시 고려할 것. 1.3. 이 과정을 통하여 본인의 샘플이 들어가기 전 상태를 알 수 있음 2. 본인의 항체를 1:1로 serial dilution 하여 .. 2.1. 과정 1. 에서의 것을 일종의 standard로 하여 나의 샘플을 넣었을때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관찰합니다.. 즉, A. 나의 샘플이 없는 것, B. 희석되어진 나의 샘플이 항원 2와 반응을 하도록 한 것, C. 희석되어진 나의 샘플이 항원 5와 반응을 하도록 한 것, D. 희석되어진 나의 샘플이 항원 8과 반응을 하도록 한 것으로 나누어 반응을 유도한 다음 3. 2, 5, 8 항체를 인지하는 항체+enzyme conjugated 항체를 넣어 준 다음 4. 효소 특이적 기질을 사용하여 발색반응을 유도하고 5. 적정 파장대에서 reading을 하여, 결과를 도식화 하면 됩니다.. 일단 과정은 이렇지만.. 각각의 경우에 생길 수 있는 경우수가 다양하다는 것도 더불어 말씀드립니다. 좋은 결과 있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