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11
org.kosen.entty.User@2b92d4e6
조영하(kteekay)
- 2
실제로 공기질을 측정해봤습니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솔루션도 마련하려고 해보았습니다.
공기질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정말로 필요한 측정이 무엇이고
실제 측정한 것에 대한 해결방안이 있는지 구체적인 답변 부탁드립니다.
- iaq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최성득님의 답변
2006-12-12- 0
질문이 좀 더 구체적이었으면 합니다. 실내공기 오염물질 종류가 상당히 많습니다. 어떤 물질에 대해서 궁금하신 것인지요? 새집 증후군과 연관된 오염물질도 있고, 컴퓨터, 가전제품이나 의류 등에 함유된 난연제도 있을 수 있고, 실내 미세먼지도 있고... 환경 (가정, 작업실, 공장 등등)에 따라서 상당히 다양한 대기오염물질이 실내에 존재하고 제거방법 또한 다양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공기질을 측정해봤습니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솔루션도 마련하려고 해보았습니다. > >공기질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정말로 필요한 측정이 무엇이고 >실제 측정한 것에 대한 해결방안이 있는지 구체적인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김병규님의 답변
2006-12-12- 0
일반적으로 대기 (외기) 와 실내기 (내기)로 먼저 분류하셔야 하고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다시 좀 더 세분화된 환경이나 여건 등이 요구됩니다. 대기의 경우 일반적인 기준들이 많이 있으리가 생각합니다. 산소농도, 이산화 탄소 농도, 분진 등의 다양한 오염 물질에 대한 분포를 확인함으로서 가능할 것입니다. 실내기의 품질에 경우는 실내에서 요구 되는 품질에 대한 어느 정도의 조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듯 합니다. 예를 들어 병원의 실내인 환자가 상주함으로 환자 위주의 대기 상태가 요구됩니다. 산소 농도, 습도, 온도 등의 요구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라 여겨지는 군요. 어떠한 경우인지 좀더 구제화시키는 방법이 어떨지요? >실제로 공기질을 측정해봤습니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솔루션도 마련하려고 해보았습니다. > >공기질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정말로 필요한 측정이 무엇이고 >실제 측정한 것에 대한 해결방안이 있는지 구체적인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