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14
org.kosen.entty.User@5989ed03
정윤경(muguete)
- 1
double-stranded DNA와 single-stranded DNA의 ionic interaction을 보기 위해,
positive charged molecule과 반응을 시켜 보았습니다. pH 5 조건입니다.
그런데, dsDNA만 반응성을 보이고 ssDNA의 반응성은 매우 낮거나 없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ssDNA의 base에 있는 free amine 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Positive molecule과 repulsion이 되어, 반응성이 떨어지는 게 아닌가 생각 됩니다.
왜 반응성이 없어 보이는 것인지, 그 이유에 대한 다른 분들의 논리를 듣고 싶습니다.^^
- double-stranded DNA
- single-stranded DNA
- Ionic interac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2006-12-15- 0
저의 간단한 의견을 말씀 드린다면... ssDNA의 반응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를 알려면 먼저 dsDNA와 molecule 간의 반응이 어떤 종류의 interaction 인지를 알아야 할것 같습니다. 단순 흡착 반응인지, charge에 의한 반응인지, agregation 형태인지 또는 intercalation에 의한 반응인지 등.. 또 이러한 반응이 specific interaction 인지 아니면 non-specific interaction 인지... 그러면 그 반응 대비 ssDNA와의 반응성을 예측할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double-stranded DNA와 single-stranded DNA의 ionic interaction을 보기 위해, >positive charged molecule과 반응을 시켜 보았습니다. pH 5 조건입니다. >그런데, dsDNA만 반응성을 보이고 ssDNA의 반응성은 매우 낮거나 없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ssDNA의 base에 있는 free amine 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Positive molecule과 repulsion이 되어, 반응성이 떨어지는 게 아닌가 생각 됩니다. > >왜 반응성이 없어 보이는 것인지, 그 이유에 대한 다른 분들의 논리를 듣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