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odium choride 농도별 어는점 알려주세요.

Sodium choride 농도별 어는점 알려주세요. 예를 들어서 20%일때 어는 점은 - 30도이다 또한 Calcium choride(CaCl2)도 농도별 어는 점 부탁드립니다.
  • sodium chorid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영국님의 답변

    이것은 일반화학 시간에 배운 어는점 내림을 생각하시면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는점 내림 = - Kf * m 이고, Kf = 1.86 K kg/mol (물의 경우) 입니다, m은 몰랄 농도이고요. 예를 들어 20%의 NaCl 용액이라면 물 80에 NaCl이 20 (무게비)로 들어 있는 용액이고 이것을 몰랄 농도로 환산하는 방법은 물 1000그램이라면 NaCl은 250그램이 되고 이것의 몰랄농도는 250/38.5(NaCl 분자량)하면 약 6.5 몰랄농도입니다. 그런데 NaCl은 Na와 Cl로 완전해리되므로 위의 m 값은 6.5 *2 하면 13이 됩니다. 따라서 어는 점 내림은 1.86 * 13 = 24.18 즉, 어는 점은 영하 24.18도가 됩니다. 다른 농도도 비슷하게 계산하시면 됩니다. CaCl2의 경우 해리하면 3몰의 이온이 생기므로 몰랄농도에 3을 곱한 값을 m 값으로 하면 됩니다. 하지만 용액이 비이상 용액이므로 실제 어는 점은 이 값보다 약간 높습니다.
    이것은 일반화학 시간에 배운 어는점 내림을 생각하시면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는점 내림 = - Kf * m 이고, Kf = 1.86 K kg/mol (물의 경우) 입니다, m은 몰랄 농도이고요. 예를 들어 20%의 NaCl 용액이라면 물 80에 NaCl이 20 (무게비)로 들어 있는 용액이고 이것을 몰랄 농도로 환산하는 방법은 물 1000그램이라면 NaCl은 250그램이 되고 이것의 몰랄농도는 250/38.5(NaCl 분자량)하면 약 6.5 몰랄농도입니다. 그런데 NaCl은 Na와 Cl로 완전해리되므로 위의 m 값은 6.5 *2 하면 13이 됩니다. 따라서 어는 점 내림은 1.86 * 13 = 24.18 즉, 어는 점은 영하 24.18도가 됩니다. 다른 농도도 비슷하게 계산하시면 됩니다. CaCl2의 경우 해리하면 3몰의 이온이 생기므로 몰랄농도에 3을 곱한 값을 m 값으로 하면 됩니다. 하지만 용액이 비이상 용액이므로 실제 어는 점은 이 값보다 약간 높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