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투여경로에 따른 생체이용률

어떤 약물이 있는데요.. 이걸 IV로 투여했을때보다 경구투여한 경우, 생체이용률이 더 높게 나옵니다. 어떤 이유로 그럴까요? 감사합니다.
  • IV
  • bioavailabil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어떤 약물이 있는데요.. >이걸 IV로 투여했을때보다 경구투여한 경우, >생체이용률이 더 높게 나옵니다. > >어떤 이유로 그럴까요? > >감사합니다. > 그 어떤 약물이 혈액 보다 소화관에 더 많은 효소가 존재하여 대사를 빨리 받기 때문에 흡수가 더 빨리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생체이용률이 높지 않을까 합니다. 인공위액 및 인공 장액과 반응을 시키거나 혈액과 섞어서 실험해 보시면 어느정도 판단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어떤 약물이 있는데요.. >이걸 IV로 투여했을때보다 경구투여한 경우, >생체이용률이 더 높게 나옵니다. > >어떤 이유로 그럴까요? > >감사합니다. > 그 어떤 약물이 혈액 보다 소화관에 더 많은 효소가 존재하여 대사를 빨리 받기 때문에 흡수가 더 빨리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생체이용률이 높지 않을까 합니다. 인공위액 및 인공 장액과 반응을 시키거나 혈액과 섞어서 실험해 보시면 어느정도 판단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어떤 약물이 있는데요.. >이걸 IV로 투여했을때보다 경구투여한 경우, >생체이용률이 더 높게 나옵니다. > >어떤 이유로 그럴까요? > >감사합니다. 1. 우선 약물의 구성성분이 무엇인가? 2. 약물사용의 타겟(목적)이 무엇인가? 3. 약물의 효능이 나타나는 곳이 어디인가? 를 안다면 답이 훨씬 명확하리라 생각됩니다. 이 약물이 소화장관을 타겟한다면 좀 쉬울 수 있겠구요.. 약이 소화장관에서 흡수되어진 후 혈관을 따라 이동하여야 하는데도 경구투여가 더 효율이 높다면 이 약물은 반드시 소화장관을 거쳐야만 활성화가 되어지거나 활성이 높아지는 경우라고 할 수 있겠죠.. 그 이유도 역시 몇가지 가설이 있을 수 있겠구요.. 그렇지 않다면, 효능측정이 잘 못되었거나.. 이 정도가 아닐까요? 좋은 실험 되시기를..
    >어떤 약물이 있는데요.. >이걸 IV로 투여했을때보다 경구투여한 경우, >생체이용률이 더 높게 나옵니다. > >어떤 이유로 그럴까요? > >감사합니다. 1. 우선 약물의 구성성분이 무엇인가? 2. 약물사용의 타겟(목적)이 무엇인가? 3. 약물의 효능이 나타나는 곳이 어디인가? 를 안다면 답이 훨씬 명확하리라 생각됩니다. 이 약물이 소화장관을 타겟한다면 좀 쉬울 수 있겠구요.. 약이 소화장관에서 흡수되어진 후 혈관을 따라 이동하여야 하는데도 경구투여가 더 효율이 높다면 이 약물은 반드시 소화장관을 거쳐야만 활성화가 되어지거나 활성이 높아지는 경우라고 할 수 있겠죠.. 그 이유도 역시 몇가지 가설이 있을 수 있겠구요.. 그렇지 않다면, 효능측정이 잘 못되었거나.. 이 정도가 아닐까요? 좋은 실험 되시기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