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12
org.kosen.entty.User@61f36db3
박혜정(hayang112)
- 2
전기화학실험을 하고 있는데요.
아주 기본적인 테스트를 하는데 의문이 생겨서 질문을 합니다.
working 전극 : Au, reference 전극 : Ag/AgCl 을 사용하는데요.
Potassium phosphate buffer(0.1M, pH 7.4)에 전극을 Dipping 해서 C-V를 측정했더니
산화환원 peak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0.1M KCl(같은 버퍼로 용해) 용액을 조금씩 버퍼에 넣으면서 C-V를 측정하니까,
KCl 농도가 짙어지면서 산화화원 peak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KCl 용액과 버퍼가 1:1로 되는 지점에서 증가하던 peak이 줄어들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은 KCl을 버퍼에 녹였는데 무엇이 전극을 산화환원 시키는지,
예를 들면 과산화수소는 전기분해되서 발생하는 전자에 의해 산화환원 peak을 만드는데
KCl 용액이 어떻게 산화환원 peak을 생기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KCl 농도가 진할수록 증가하던 peak가 감소하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 궁금증을 해소해주세요...
- cyclic voltametr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천승환님의 답변
2007-01-17- 0
자세한 potetial range가 나오지 않아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제 기억으로 0.9V 이상의 전위를 걸어주면 Cl에 의해 금의 부식이 발생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0.9V이상의 anodic potential을 걸어주면 Gold-Chloride complex에의해 산화 환원 peak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본 홋카이도 대학의 Uosaki 교수의 발표논문중에 잇었던 것으로 기업합니다.) >전기화학실험을 하고 있는데요. > >아주 기본적인 테스트를 하는데 의문이 생겨서 질문을 합니다. > >working 전극 : Au, reference 전극 : Ag/AgCl 을 사용하는데요. > >Potassium phosphate buffer(0.1M, pH 7.4)에 전극을 Dipping 해서 C-V를 측정했더니 >산화환원 peak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0.1M KCl(같은 버퍼로 용해) 용액을 조금씩 버퍼에 넣으면서 C-V를 측정하니까, >KCl 농도가 짙어지면서 산화화원 peak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KCl 용액과 버퍼가 1:1로 되는 지점에서 증가하던 peak이 줄어들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은 KCl을 버퍼에 녹였는데 무엇이 전극을 산화환원 시키는지, >예를 들면 과산화수소는 전기분해되서 발생하는 전자에 의해 산화환원 peak을 만드는데 >KCl 용액이 어떻게 산화환원 peak을 생기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KCl 농도가 진할수록 증가하던 peak가 감소하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 >제 궁금증을 해소해주세요... >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7-06-25- 0
전해질에서 Cl이 작용하여 peak가 나타나며,Cl의 과농도에서는 peak가 내려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