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17
org.kosen.entty.User@486ee113
김현령(isabelle)
- 1
안녕하세요
저밀도 지단백(LDL) 이 상당량 필요한데요.
시약판매사에 물어보니 소량에 가격이 비싸더라구요.
그래서 혈액에서 직접 LDL을 isolation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논문에는 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을 하라고 되어있는데 이런 프로토콜로 실험해 본적이 없어서 내용은 이해가 가지면 실제로 하기가 어렵군요. 국내에 이런일을 하는 랩이 있으면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혹시 LDL분리법을 잘 알고 계시는 분이나 랩을 알고 계시는 분은 답글남겨주시면 너무너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안녕히 계세요
- LDL isolation/purific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2007-02-28- 0
>안녕하세요 > >저밀도 지단백(LDL) 이 상당량 필요한데요. >시약판매사에 물어보니 소량에 가격이 비싸더라구요. > >그래서 혈액에서 직접 LDL을 isolation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논문에는 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을 하라고 되어있는데 이런 프로토콜로 실험해 본적이 없어서 내용은 이해가 가지면 실제로 하기가 어렵군요. 국내에 이런일을 하는 랩이 있으면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혹시 LDL분리법을 잘 알고 계시는 분이나 랩을 알고 계시는 분은 답글남겨주시면 너무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그럼 안녕히 계세요 일전에 코센에 올랐던 답글 일부 수정하여 올려드립니다.. 사진이 있어서 스텝별로 이해가 쉬었었는데 사진을 찾으면 다시 올려드리겠습니다.. 지단백이란 세포막의 구성요소인 인지질과 콜레스테롤을 말단 세포에 배급해 주는 시스템입니다. 혈액에 기름기가 안 녹으므로 녹게 만든 생체 배급 시스템이지요 (LDL의 경우 약 단백질 25% triacylglycerol 10%, 인지질 22%, 콜레스테롤 45%로 구성). 혈액의 지단백은 비중에 따라서 chylomicrons (d=0.92~0.96),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 d=0.95~1.0), low density lipoprotein (LDL, d=1.00~1.06),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d=1.06~1.21)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LDL을 뽑기 위해서 상당한 양의 유사품인 chylomicrons, VLDL, HDL 등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야겠지요? 요령은 비중이 낮은 것부터 제거한다 입니다. 1) 먼저 혈액을 혈액원에서 혈장상태로 받아옵니다. 지단백의 변성을 막아주는 화학약품을 처리한 후에 냉장상태에서 100,000 g로 20시간 정도 원심분리하여 비중이 혈장보다 낮아서 위로 뜨는 chylomicron과 VLDL을 제거합니다. 2) KBr나 NaBr를 이용하여 밀도를 1.06으로 맞추어서 다시 100,000 g에서 24시간 정도 원심분리합니다. 그러면 LDL이 맨 위로 뜨겠지요. 노란색 기름기 부분이 LDL로 요 부분을 제거해서 dialysis해서 KBr 이나 NaBr를 제거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density를 맞추는 방법은 KBr이나 NaBr를 buffer에 녹인 후, 1ml을 따서 질량을 측정하였을때 1.06g이 되면 맞는 겁니다. KBr이나 NaBr은 무거운 화합물로서 물에 녹이면 비중이 물보다 무거워지게 됩니다. 3) 마지막으로 HDL을 뽑기 위해서는 다시 KBr나 NaBr를 이용하여 밀도를 1.21로 맞추어서 위의 원리로 원심분리하면 됩니다. 4) 마지막으로 추출한 지단백이 맞는지를 젤로 확인하여야겠지요 좋은 실험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