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18
org.kosen.entty.User@166ab30e
김현령(isabelle)
- 1
안녕하세요.
혈액으로부터 LDL purification하는 방법을 찾아보다가,
sample suspension의 density를 solid KBr로 1.22g/ml이 되도록 첨가하여 (또는 조절하여) 원심분리한다는 내용을 논문에서 읽었는데요.
대충 뜻은 이해가 가는데 실제로 어떻게 density를 맞추는것인지 도저히 머리속으로 상상하기가 힘드네요...density를 어떻게 재야하는건지요...
혹시 이부분 실험하신분 있으면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 density centrifug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허광래님의 답변
2007-01-19- 0
지단백이란 세포막의 구성요소인 인지질과 콜레스테롤을 말단 세포에 배급해 주는 시스템입니다. 혈액에 기름기가 안 녹으므로 녹게 만든 생체 배급 시스템이지요 (LDL의 경우 약 단백질 25% triacylglycerol 10%, 인지질 22%, 콜레스테롤 45%로 구성). 혈액의 지단백은 비중에 따라서 chylomicrons (d=0.92~0.96),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 d=0.95~1.0), low density lipoprotein (LDL, d=1.00~1.06),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d=1.06~1.21)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LDL을 뽑기 위해서 상당한 양의 유사품인 chylomicrons, VLDL, HDL 등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야겠지요? 첨부된 화일을 보면서 다음의 설명을 참고하세요. 요령은 비중이 낮은 것부터 제거한다는 것입니다. 1) 먼저 혈액을 혈액원에서 혈장상태로 받아옵니다. 지단백의 변성을 막아주는 화학약품을 처리한 후에 냉장상태에서 100,000 g로 20시간 정도 원심분리하여 비중이 혈장보다 낮아서 위로 뜨는 chylomicron과 VLDL을 제거합니다. 첫 왼쪽 사진에서 왼쪽 튜브는 원심분리 후 용액을 제거한 사진이고, 오른쪽 튜브는 원심분리 직후의 사진입니다. 오른쪽 튜브의 맨 위쪽이 VLDL 및 chylomicrons이 존재합니다. 2) KBr나 NaBr를 이용하여 밀도를 1.06으로 맞추어서 다시 100,000 g에서 24시간 정도 원심분리합니다. 그러면 LDL이 맨 위로 뜨겠지요. 노란색 기름기 부분이 LDL로 요 부분을 제거해서 dialysis해서 KBr 이나 NaBr를 제거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density를 맞추는 방법은 KBr이나 NaBr를 buffer에 녹인 후, 1ml을 따서 질량을 측정하였을때 1.06g이 되면 맞는 겁니다. KBr이나 NaBr은 무거운 화합물로서 물에 녹이면 비중이 물보다 무거워지게 됩니다. 3) 마지막으로 HDL을 뽑기 위해서는 다시 KBr나 NaBr를 이용하여 밀도를 1.21로 맞추어서 위의 원리로 원심분리하면 됩니다. 4) 마지막으로 추출한 지단백이 맞는지를 젤로 확인하여야겠지요? 젤의 왼쪽 그림은 지단백의 단백질을 염색하여 보는 방법이고, 젤의 오른 쪽 그림 2개는 지질을 염색하여 보는 방법입니다. 궁금한 것이 해결이 되었는지요? ^_^** >안녕하세요. >혈액으로부터 LDL purification하는 방법을 찾아보다가, >sample suspension의 density를 solid KBr로 1.22g/ml이 되도록 첨가하여 (또는 조절하여) 원심분리한다는 내용을 논문에서 읽었는데요. >대충 뜻은 이해가 가는데 실제로 어떻게 density를 맞추는것인지 도저히 머리속으로 상상하기가 힘드네요...density를 어떻게 재야하는건지요... > >혹시 이부분 실험하신분 있으면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