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19
org.kosen.entty.User@1816dfa7
정찬영(assaview)
- 3
1) 흔히 역상, 순상그러는데 HPLC에 장착되는 컬럼의 종류에 따라 그렇게 말하는건가요? 아님 RP-HPLC가 따로 있는건가요?
2) RP-HPLC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가 궁금합니다.
3) 보통 펩타이드를 분리하는데 C18컬럼을 많이 사용하고 단백질의 경우에는 C4라고 책에서봤는데.. bead의 입자가 작을수록 분리능이 좋아 펩타이드는 C18에서 사용한다는거 같은데 맞나요?
4) Hydrophobicity에 의해 분리가 되는데 bead에 존재하는 pore의 기능은 무엇인가요? 제가알기에는 bead 표면의 n-acy같은것과 결합하는것 같은데 pore는 소수성 결합에 관여를하나여 아니면 단백질이나 펩타이드같은 입자의 크기에 관여를하나여?
5) C18,C8같은 소수성을 이용한 컬럼이외에 affinity나 ion-exchange같은 컬럼도 HPLC에 이용할수 있나요?
HPLC를 사용하게되어 책을 뒤져가면 찾아보았는데 궁금만 더욱 늘어나네요.ㅠㅠ
너그러운 마음으로 많은 도움과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날씨가 춥네요..감시조심하고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 HPL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2010-01-12- 2
>1) 흔히 역상, 순상그러는데 HPLC에 장착되는 컬럼의 종류에 따라 그렇게 말하는건가요? 아님 RP-HPLC가 따로 있는건가요?>2) RP-HPLC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가 궁금합니다.>3) 보통 펩타이드를 분리하는데 C18컬럼을 많이 사용하고 단백질의 경우에는 C4라고 책에서봤는데.. bead의 입자가 작을수록 분리능이 좋아 펩타이드는 C18에서 사용한다는거 같은데 맞나요? >4) Hydrophobicity에 의해 분리가 되는데 bead에 존재하는 pore의 기능은 무엇인가요? 제가알기에는 bead 표면의 n-acy같은것과 결합하는것 같은데 pore는 소수성 결합에 관여를하나여 아니면 단백질이나 펩타이드같은 입자의 크기에 관여를하나여?>5) C18,C8같은 소수성을 이용한 컬럼이외에 affinity나 ion-exchange같은 컬럼도 HPLC에 이용할수 있나요? >>HPLC를 사용하게되어 책을 뒤져가면 찾아보았는데 궁금만 더욱 늘어나네요.ㅠㅠ>너그러운 마음으로 많은 도움과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날씨가 춥네요..감시조심하고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참고자료 첨부합니다. -
답변
김홍기님의 답변
2007-01-19- 0
제가 완전 전문가는 아니지만 그간 사용해본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최대한 쉽게 답변드리겠습니다. >1) 흔히 역상, 순상그러는데 HPLC에 장착되는 컬럼의 종류에 따라 그렇게 말하는건가요? 아님 RP-HPLC가 따로 있는건가요? 답변: 컬럼의 분리 특성에 따라 말하는 거구요... HPLC 기계는 차이가 없습니다. 즉, 역상인 RP 컬럼을 사용하여 HPLC로 분리한 경우 RP-HPLC라고 표현합니다. >2) RP-HPLC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가 궁금합니다. 답변: 어떤 분자를 분리하는데 많이 사용되는지 알 수 없으나, RP의 경우 컬럼 레진과 분리 대상 분자간의 hydrophobicity를 이용하여 서로간의 interaction에 따른 retention time 결정됩니다. 즉, 소수성 분자와, 친수성 분자가 이동상에 녹아서 RP 컬럼으로 들어가는 경우 소수성분자는 소수성인 레진과 interation을 하여 천천히 컬럼을 통과하게 될 것이고 친수성 분자는 쉽게 통과되어 elution 됩니다. >3) 보통 펩타이드를 분리하는데 C18컬럼을 많이 사용하고 단백질의 경우에는 C4라고 책에서봤는데.. bead의 입자가 작을수록 분리능이 좋아 펩타이드는 C18에서 사용한다는거 같은데 맞나요? 답변: 정확한 표현은 아니지만 C18과 C4의 차이는 backbone으로 하는 탄소의 갯수 차이입니다. 당연히 단백질에 비해 크기가 작은 펩타이드를 분리할 경우 탄소18개를 backbone으로하는 C18 컬럼이 C4에 비해 촘촘하여 분리가 잘 됩니다. >4) Hydrophobicity에 의해 분리가 되는데 bead에 존재하는 pore의 기능은 무엇인가요? 제가알기에는 bead 표면의 n-acy같은것과 결합하는것 같은데 pore는 소수성 결합에 관여를하나여 아니면 단백질이나 펩타이드같은 입자의 크기에 관여를하나여? 답변: 펩타이드가 C18 컬럼에서 분리됨에 있어 Hydrophobicity 이외에 레진의 pore 또한 통과 하면서 retention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즉, 소수성일 수록, 크기가 클수록 오래 retention이 되어 elution됨으로 peak가 늦은 retention time 에서 관찰 됩니다. >5) C18,C8같은 소수성을 이용한 컬럼이외에 affinity나 ion-exchange같은 컬럼도 HPLC에 이용할수 있나요? 답변: HPLC는 단순하게 이동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flow rate으로 buffer A와 B를 순차적으로 섞어 컬로을 통과하게 한 후 Detector에서 그 signal을 감지하여 컴퓨터에서 Peak 등의 데이터로 보여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시료의 분리 특성에 맞게 중간에 들어가는 컬럼은 affinity나 ion-exchange 등의 모든 컬럼이 사용이 가능하며, 그에 맞게 버퍼 등의 조건만 달라지면 됩니다. > >HPLC를 사용하게되어 책을 뒤져가면 찾아보았는데 궁금만 더욱 늘어나네요.ㅠㅠ >너그러운 마음으로 많은 도움과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날씨가 춥네요..감시조심하고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13- 0
HPLC의 trouble shooting의 자료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