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Fas-Fas ligand와 Caspase에 대해서요...

제가 면역학을 안 배워서 그런데요...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Fas-Fas ligand의 개념이 무었이지요? caspase개념과 procaspase의 개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도와주셔염!!!
  • Fas-Fas ligand
  • Caspas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한재석님의 답변

    정말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Fas라는 세포 표면의 단백질이 Fas ligand라는 다른 세포의 단백질과 결합하면 (Fas-Fas ligang interaction) 이것이 apoptosis를 유도하게 됩니다. 아마도 면역학책에 그림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매우 유명한 mechanism이니까요. Caspase는 apoptosis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enzyme으로서, 세포내에서 procaspase의 형태 (비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합니다. 자극에의해 세포내 apoptosis가 활성화되면 이들 procaspase가 caspase로 활성화됩니다. >제가 면역학을 안 배워서 그런데요...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Fas-Fas ligand의 개념이 무었이지요? > >caspase개념과 procaspase의 개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 >도와주셔염!!!
    정말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Fas라는 세포 표면의 단백질이 Fas ligand라는 다른 세포의 단백질과 결합하면 (Fas-Fas ligang interaction) 이것이 apoptosis를 유도하게 됩니다. 아마도 면역학책에 그림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매우 유명한 mechanism이니까요. Caspase는 apoptosis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enzyme으로서, 세포내에서 procaspase의 형태 (비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합니다. 자극에의해 세포내 apoptosis가 활성화되면 이들 procaspase가 caspase로 활성화됩니다. >제가 면역학을 안 배워서 그런데요...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Fas-Fas ligand의 개념이 무었이지요? > >caspase개념과 procaspase의 개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 >도와주셔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apoptosis는 extrinsic과 intrinsic으로 나뉘어지는데 지금 말씀하신 Fas-Fas ligand는 Extrinsic에 해당합니다. 이들의 주 차이점은 intrinsic은 세포 내 DNA damage/stress에 의해 mitochodria에서 cytocrome c를 분비하면서 caspases의 활성을 유도하는 것이고.. extrinsic에서는 이런 과정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Extrinsic은 외부에서 리간드가 수용체와 결합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세포표면에 존재하는 TNF-receptor family인 death receptors (DR3, TNFR1, Trail-R2)에 외부로부터 리간드가 결합을 하게되고.. 이 결합이 세포내 caspases의 활성을 유도하므로서 apoptosis를 유도하게 되는 것입니다. 실제 pathway를 보시면 물론 이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것을 알수가 있지만 우선 이렇게 개념정리를 하시고요.. pro-apoptotic protein은 apoptosis에 관련하는 단백질인 Bcl-2 protein 중에서 apoptosis를 활성화시켜주는 쪽의 것들 (즉, Bax 등)을 말하고 .. anti-apoptotic protein은 반대로 억제하여주는 Bcl-2 protein (즉, Bcl-XL 등)을 말합니다. caspase는 여러가지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1. caspase-1 family vs. CED-3 family (caspase-3 sub-family and caspase-2 sub-family) 2. 어떤 cleavage 형태를 가지느냐에 따른 분류 3. initiator caspase (초기단계) vs. effector caspase (down stream) pro-caspase는 불활성의 상태로서 아직 cleaved 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재미있으면서도 조금은 복잡한 이야기 입니다.. 2002년에 노벨상을 타게한 주제이기도 하구요.. 좋은 공부 + 연구 되세요.. >제가 면역학을 안 배워서 그런데요...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Fas-Fas ligand의 개념이 무었이지요? > >caspase개념과 procaspase의 개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 >도와주셔염!!!
    apoptosis는 extrinsic과 intrinsic으로 나뉘어지는데 지금 말씀하신 Fas-Fas ligand는 Extrinsic에 해당합니다. 이들의 주 차이점은 intrinsic은 세포 내 DNA damage/stress에 의해 mitochodria에서 cytocrome c를 분비하면서 caspases의 활성을 유도하는 것이고.. extrinsic에서는 이런 과정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Extrinsic은 외부에서 리간드가 수용체와 결합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세포표면에 존재하는 TNF-receptor family인 death receptors (DR3, TNFR1, Trail-R2)에 외부로부터 리간드가 결합을 하게되고.. 이 결합이 세포내 caspases의 활성을 유도하므로서 apoptosis를 유도하게 되는 것입니다. 실제 pathway를 보시면 물론 이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것을 알수가 있지만 우선 이렇게 개념정리를 하시고요.. pro-apoptotic protein은 apoptosis에 관련하는 단백질인 Bcl-2 protein 중에서 apoptosis를 활성화시켜주는 쪽의 것들 (즉, Bax 등)을 말하고 .. anti-apoptotic protein은 반대로 억제하여주는 Bcl-2 protein (즉, Bcl-XL 등)을 말합니다. caspase는 여러가지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1. caspase-1 family vs. CED-3 family (caspase-3 sub-family and caspase-2 sub-family) 2. 어떤 cleavage 형태를 가지느냐에 따른 분류 3. initiator caspase (초기단계) vs. effector caspase (down stream) pro-caspase는 불활성의 상태로서 아직 cleaved 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재미있으면서도 조금은 복잡한 이야기 입니다.. 2002년에 노벨상을 타게한 주제이기도 하구요.. 좋은 공부 + 연구 되세요.. >제가 면역학을 안 배워서 그런데요...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Fas-Fas ligand의 개념이 무었이지요? > >caspase개념과 procaspase의 개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 >도와주셔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