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2-16
org.kosen.entty.User@6cb5dccc
유병수(yoobsone)
- 2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의 대표적인 국외 처리방법(안정처리)이나 선행연구등에 대한 자료가 있는지... 또한 각 처리방법에 따른 장단점 등을 기술한 자료가 있는지 알려주십시오,, 감사합니다.
- sludge
- reduction
- re·cy·cl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주웅님의 답변
2007-02-16- 0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의 대표적인 국외 처리방법(안정처리)이나 선행연구등에 대한 자료가 있는지... 또한 각 처리방법에 따른 장단점 등을 기술한 자료가 있는지 알려주십시오,, 감사합니다. 하수 처리에 관한 논문 & 특허 입니다.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
답변
김현중님의 답변
2007-02-21- 0
하수슬러지 골머리 싹~ 각 가정에서 나오는 하수 슬러지를 단단한 진흙 형태로 만들어 매립용 흙으로 재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충남 당진 소재 태성건설과 환경기술 분야 전문가인 박상규 씨(42)가 공동으로 자치단체마다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하수 슬러지를 악취 없이 재활용할 수 있는 첨단 신기술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신기술의 핵심은 악취의 주원인인 암모니아 가스를 잡는 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합성제올라이트를 발생시키는 공정이다. 처리 비용은 기존 소각공법(t당 8만원)의 절반 수준에 못 미치는 t당 3만원대로 경제성도 높다. 하수 슬러지는 전국 지자체 하수처리장에서 오니(汚泥) 형태로 하루 6000t씩 배출되고 있는 대표적인 환경폐기물이다. 하수 슬러지는 2003년 7월부터 일반 생활쓰레기매립장 처리가 금지된 데 이어 현재 가장 일반적인 처리 방법인 해양 투기마저 한국이 가입한 런던협약이 비준돼 2012년부터 불가능해진다. 육상 처리가 막혀 바다로 버렸던 슬러지를 다시 육지에서 처리할 수밖에 없게 된 셈이다. 이에 따라 지자체들이 처리기술 개발은 외면한 채 저렴한 처리 방식인 해양 투기에만 신경쓰는 사이 더 이상 해양 투기가 불가능한 상황에 봉착한 것이다. 하지만 박씨 등의 신기술은 악취 등 민원유발 요인을 제거한 데다 최종 생산품을 공급이 부족한 형편인 쓰레기매립장 복토재로 안정적 판매까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하수 슬러지 처리 해소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박씨는 이 기술개발을 위해 2001년부터 6년여 동안 15억원을 투자하며 숱한 시행착오를 겪어오다 마침내 지난달 환경부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 그는 “인증서를 받은 지 한 달도 안돼 지자체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2015년까지 6800억원을 투입해 총 64개(100t 규모 기준) 슬러지 처리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올해만 1950억원에 이르는 예산이 전국 지자체의 관련 예산으로 책정돼 있어 시장 여건도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전 = 조한필 기자] < Copyright ⓒ 매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07.02.20 16:26:03 입력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의 대표적인 국외 처리방법(안정처리)이나 선행연구등에 대한 자료가 있는지... 또한 각 처리방법에 따른 장단점 등을 기술한 자료가 있는지 알려주십시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