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2
org.kosen.entty.User@5032a4ec
최순범(beom8649)
- 3
3 L jar fermentor로 E. coli를 배양 하려고 합니다. 기존에 저희 실험실에서는 배양 하는 목적이 일반적인 그것이 아니라서, 그냥 제 마음 대로 해왔습니다(12시간 후에 무조건 harvest함). 실험실에 jar fermentor 및 E. coli에 대해 잘 아시는 분도 없습니다.
이번에 유전자 조작된 E. coli를 배양 하려니, 논문에 600nm 에서 absorbance가 0.6이 되었을때 inducer를 첨가하고 1시간동안 배양 한후에 harvest 하라고 나와 있더군요. <===저는 이 말이 아무리 생각해도 의아해서 말이죠. 1시간 inducing하고 바로 harvest 해버리면, inducing하기전에 단백질 발현 안된 E. coli도 꽤 많이 자라 있을 텐데 말이죠.....거참...
아무튼, 요지는 jar fermentor를 이용하여 E. coli를 배양하는 방법?기술? 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특히, OD 측정하는 방법(base를 물로 잡는지 순수배지로 잡는지...)
OD 몇까지 배양 해야 하는지......
- ferment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성훈님의 답변
2007-03-03- 0
직접 해봐야 하는데..남에 말만 듣고 하면 잘 안되죠.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에 계시는 이상엽 박사님 홈페이에 들어가서 그 방에서 나온 초창기 논문이랑 리뷰페이퍼를 참고하면 실험에 아주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
답변
최영욱님의 답변
2007-03-03- 0
> 3 L jar fermentor로 E. coli를 배양 하려고 합니다. 기존에 저희 실험실에서는 배양 하는 목적이 일반적인 그것이 아니라서, 그냥 제 마음 대로 해왔습니다(12시간 후에 무조건 harvest함). 실험실에 jar fermentor 및 E. coli에 대해 잘 아시는 분도 없습니다. > 이번에 유전자 조작된 E. coli를 배양 하려니, 논문에 600nm 에서 absorbance가 0.6이 되었을때 inducer를 첨가하고 1시간동안 배양 한후에 harvest 하라고 나와 있더군요. <===저는 이 말이 아무리 생각해도 의아해서 말이죠. 1시간 inducing하고 바로 harvest 해버리면, inducing하기전에 단백질 발현 안된 E. coli도 꽤 많이 자라 있을 텐데 말이죠.....거참... > > 아무튼, 요지는 jar fermentor를 이용하여 E. coli를 배양하는 방법?기술? 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 특히, OD 측정하는 방법(base를 물로 잡는지 순수배지로 잡는지...) > OD 몇까지 배양 해야 하는지...... > Jar 를 통해 배양하는 방법은 일단 주변에 발효방에 문의하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백번 듣는것 보다 한번 보는게 더 효과적이니까요 특히 발효는 그렇습니다. OD를 측정한다는것은 기본적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한 용매를 가지고 base를 잡아야 합니다. 그래야 용매만이 갖고 있는 OD에 대한 값을 제하고 용질에 대한 OD를 측정할수 있겠지요 OD 몇까지 배양해야 한다는 것은 직접해 보기전에 알 수 없습니다. 왜냐면 어떤 gene이 cloning되어있느냐에 따라서 expression 되는 정도 가 다르기 때문이죠.. 이러한 recombinant protein을 만들때는 induction test를 거쳐 최상의 condition으로 optimazation을 거치게 됩니다. 어떤 vector systems을 쓰는지는 잘 모르지만 만약 Novagen system을 쓰신다면 expression system 메뉴얼이 있습니다. 거기에 induction test를 하는 방법과 그 vector system을 사용하였을때의 induction 하기전의 적정 OD에 대한 설명등이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그럼 화이팅입니다. -
답변
김성우님의 답변
2007-03-14- 0
> 3 L jar fermentor로 E. coli를 배양 하려고 합니다. 기존에 저희 실험실에서는 배양 하는 목적이 일반적인 그것이 아니라서, 그냥 제 마음 대로 해왔습니다(12시간 후에 무조건 harvest함). 실험실에 jar fermentor 및 E. coli에 대해 잘 아시는 분도 없습니다. > 이번에 유전자 조작된 E. coli를 배양 하려니, 논문에 600nm 에서 absorbance가 0.6이 되었을때 inducer를 첨가하고 1시간동안 배양 한후에 harvest 하라고 나와 있더군요. <===저는 이 말이 아무리 생각해도 의아해서 말이죠. 1시간 inducing하고 바로 harvest 해버리면, inducing하기전에 단백질 발현 안된 E. coli도 꽤 많이 자라 있을 텐데 말이죠.....거참... > > 아무튼, 요지는 jar fermentor를 이용하여 E. coli를 배양하는 방법?기술? 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 특히, OD 측정하는 방법(base를 물로 잡는지 순수배지로 잡는지...) > OD 몇까지 배양 해야 하는지...... > 질문하신 분은 fermentor를 운용은 할줄 알지만 배양방법등에 대해서는 잘 모르시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질문에 대해서 일반적인 수준에서 답변드립니다. 현재 사용하시는 발효양식이 batch culture인지 fed-batch인지 정확히 알순 없으나 batch culture로 짐작이 되므로 그렇게 기술합니다. 일반적으로 O.D가 0.6에서 induction 하라는 것은 대장균 배양시에 탄소원이 따로 첨가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되고, batch culture라도 glucose를 1.5-2% 정도 첨가한 배지의 경우 cell mass가 많이 증가하기 때문에induction point는 다소 늦어집니다. 이런경우 플라스크에서 growth curve를 먼저 확인해 보고 어느 시점에서 induction 하는 것이 좋은지 test를 한 후에 발효를 하는 것이 순서입니다. Induction 후 배양시간은 앞서 1시간을 언급하셨는데.. 목적단백질의 최대발현을 확인하기엔 너무 짧다고 생각되어지며 최소 3-4 시간은 배양 하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고 너무 오랜시간 영양공급원없이 발효를 하는 것은 cell lysis를 유도하기때문에 그리 좋지는 않습니다. O.D의 측정은 원칙적으로 동일배지를 사용해야 하나 일반 산업현장에서는D.W로 잡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