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5
org.kosen.entty.User@260060ca
박갑수(ph3427)
- 1
바보같은 질문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떤 고분자의 평균분자량을 MALS-RI를 사용하여 실험하였습니다.
(detector: multiangle light scattering, interferometric refractometer)
그 결과,
1.0 X 10*6 ~ 1.0 X 10*8 g/mol 에 걸쳐 분자량이 분포하고
평균적인 분자량은 약 4.240 X 10*6으로 나왔습니다.
음, 고분자의 경우 (중합체)n으로 보통 표기하며
이런 경우 달톤의 개념으로 분자량을 표시하곤 합니다. 예)300만달톤
그렇다면, 실재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분자량(g/mol)과 달톤 사이의 관계가 무엇일까요?
고등학교때나 대학때 배운기억이 없군요....(참고로 전 화학전공자가 아닙니다.)
한가지 질문 더 드립니다.
고분자의 경우 점탄성이라는 물리적 성질을 갖게 되는데요,
점탄성을 표기할 때 cP라고 표기하는 단위에 대한 정보 부탁드립니다.
또한 극한점도와 점탄성 또는 점탄성과 분자량과 의 관계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Mark-Houwink-Sakurada 식에 대한 정보 부탁드립니다.
아마도 극한점도와 고분자의 분자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인듯 합니다만.....
ps.
여기서 말한 고분자는 sodium hyaluronate 입니다.
- high molecular weight substance
- dalt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2007-03-06- 0
질문아래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0 X 10*6 ~ 1.0 X 10*8 g/mol 에 걸쳐 분자량이 분포하고 >평균적인 분자량은 약 4.240 X 10*6으로 나왔습니다. 답변=====> 평균 분자량이 이 정도이면 고분자에 속하네요 (생물화합물이나 고분자 화합물) >음, 고분자의 경우 (중합체)n으로 보통 표기하며 >이런 경우 달톤의 개념으로 분자량을 표시하곤 합니다. 예)300만달톤 >실재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분자량(g/mol)과 달톤 사이의 관계가 무엇일까요? 답변=====> 달톤은 원자량으로 설명하며 분자량은 원자가 모여 이루어진 상대적인 량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제가 글로 설명을 드리는 것 보다는 아래 사이트를 참조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http://blog.naver.com/funkyfriday?Redirect=Log&logNo=70014594955 하나더 잘 설명이 되어 있는 영문 단위 사이트 입니다. http://www.unc.edu/~rowlett/units/dictP.html >한가지 질문 더 드립니다. >고분자의 경우 점탄성이라는 물리적 성질을 갖게 되는데요, >점탄성을 표기할 때 cP라고 표기하는 단위에 대한 정보 부탁드립니다. 답변======>점성도(粘性度)의 CGS단위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라는 기호로 나타내는데 1 초동안 1 g의 질량을 갖는 유체가 1 cm 이동하는 상태를 1 P(푸아즈)라고 부릅니다. 1 P는 보통 유체의 점성도를 나타내는 데는 너무 크므로 실제로는 그 1/100인 cP(센티푸아즈)를 쓰는 경우가 많다. 이를테면 20 ℃의 순수(純水)의 점성도는 1.002 cP이다. 이는 점성을 갖는 유체 연구자 J.L.M.푸아죄유에서 따온 용어입니다. >또한 극한점도와 점탄성 또는 점탄성과 분자량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Mark-Houwink-Sakurada 식에 대한 정보 부탁드립니다. >아마도 극한점도와 고분자의 분자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인듯 합니다만... 답변=====> 맞습니다. 분자량을 구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래서 정량적 상대적 방법으로 쉽게 구하는 방법이 바로 MHS 방법입니다. Mark-Houwink-Sakurada식은 원리가 간단합니다. 원리: 어떤 고분자의 용액점도를 알면 상대적으로 그 분자량을 구할 수 있는식입니다. 수평균 분자량과 무게 평균 분자량의 중간 값을 가지게 되는데 식으로는 점도[η] = K Ma(여기서 a는 지수,K 는 상수, M은 분자량) 결국 분자량을 알고 있는 어떤 물질의 점도를 측정하고 실제로 구하고자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구하게 되는데 위의 식이 지수를 포함하여 양변을 로그를 취합니다. 그럼 log [η]= log K + a*log M 이 되면 몇 번의 실험값을 이식에 대입하여 최소자승법(잔차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는 회귀선을 구하는 방법)으로 a와 K를 알고 미지의 분자량을 점도만 알면 얻을 수 있습니다. 혹 다음 파일이 분자량의 종류와 MHS방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