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7
org.kosen.entty.User@4bd442a6
김영철(mal663)
- 1
co-culture system에 관하여 문의드립니다.
neuron cell을 falcon cell culture insert system이라는 것을 사용하여 co-culture 하려고 하는데 너무 막막해서 글 올립니다.
경험이 있으신분이 계시면 답변 주시면 감사하게 도움 받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
- co-cultur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2007-03-09- 0
>co-culture system에 관하여 문의드립니다. > >neuron cell을 falcon cell culture insert system이라는 것을 사용하여 co-culture 하려고 하는데 너무 막막해서 글 올립니다. > >경험이 있으신분이 계시면 답변 주시면 감사하게 도움 받겠습니다. > >부탁드립니다.!! 제가 co-culture system을 사용하지만.. 뉴론 셀이 아니라서 아주 정확하게는 말씀드리지 못하겠지만.. 접근하는 방법을 설명드리면.. 이 시스템은 두가지 세포의 반응을 보고자 할때 유용합니다. 즉 endothelial cell과 epithelial cell 또는 eukaryotic cell과 박테리아의 상호작용을 stimulant 처리를 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보려고 할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또 다른 경우에는 두가지의 세포를 insert의 내부와 외부 (즉 insert의 바닥 안쪽과 바깥쪽)에 함께 넣어주고 상호관계를 관찰할때도 사용합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종류의 조합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컬쳐 후 확인 작업입니다.. 하나는 insert 안쪽과 바깥쪽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일정한 저항이 나타나면 monolayer가 형성되었다고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endothelial cell 같은 경우는 전기저항으로는 알 수가 없습니다.. 이럴때는 biotin등을 사용하여 통과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현미경 관찰도 가능하나 insert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라서 정확히는 보기가 힘들고, 또 페이퍼를 낼때도 어떤 방법이든 확인을 하심이 좋을 것 입니다.. 아래 논문을 보시면 상기 설명을 조금 더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좋은 실험 되세요.. E. Gullberg, M. Leonard, J. Karlsson, A.M. Hopkins, D. Brayden, A.W. Baird, P. Artursson, Expression of specific markers and particle transport in a new human intestinal M-cell mode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79 (2000) 808-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