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11
org.kosen.entty.User@fa039bc
신동호(frog21c)
- 1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조사하다가 호모시스테인에 관한 내용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콜레스테롤과 함께 중요한 인자로 보고 있는 것 같은데,
비전공자라서 깊이 있는 내용을 알 수가 없네요.
최근들어 호모시스테인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된 것 같습니다.
호모시스테인이 임상학적으로 갖는 의미는 무엇이고,
현재까지 호모시스테인과 관련된 질병이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모 병원에서는 장년층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호모시스테인 레벨을 측정하는 항목이 있던데,
호모시스테인이 얼마나 중요한 마커인지 알고 싶습니다.
- 호모시스테인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7-03-14- 0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말씀드리면, 호모시스테인과 관상동맥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고, 호모시스테인 합성에 관련된 효소의 유전자 변이와 thrombosis (혈전형성)나 관상동맥질환과의 연관되어 있다는 보고가 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prospective study에서 호모시스테인의 혈중 농도 증가를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로 진단적 가치를 가지기에는 확실한 증거가 제시된 바 없습니다. 또한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감소시키면 관상동맥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도 없습니다. 희귀성 유전질환으로 cystathionine-beta-synthase의 결손이 생기는 경우 혈장 호모시스테인의 농도가 10배 이상 높고 premature atherosclerosis, recurrent thromboses of coronary, cerebral or peripheral arteries, venous thrombosis의 위험도가 크게 증가됩니다. Case-control 연구 결과를 보면 혈장 호모시스테인의 농도와 관상동맥 질환과의 moderate association은 보이지만 충분한 데이터가 아직 없기 때문에 general population을 대상으로 호모시스테인 screen을 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연령별, 성별, 인종별로 다양한 분포를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0% 이상 높고, 히스패닉계 백인종이 멕시칸 미국인들 보다 10% 이상 높습니다 (혹자는 아시안인들의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타 인종에 비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도 있습니다). 또한 70대가 30대 보다 40% 이상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