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E. coli를 fermentor를 이용하여 배양하기 전에

E. coli를 배양시켜 cell mass를 얻기위해 fermentor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fermentor에서 키우기 전에 플라스크에서 pre-culture를 해야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플라스크 culture 하기전에 시험관 배양도 해야 한다고 알고 있구요. 문제는 1. 시험관배양은 몇시간, 플라스크 배양은 몇시간 해야하는지... 2. 시험관배양할때 OD값을 측정하여 growth curve를 그리기도 하나요? 시험관에서 많이 키워봤자 5ml인데 OD값 찍기위해 1ml씩만 sampling 해도 5번 sampling하면 하나도 안남는데 ^^;
  • E. coli
  • fermento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Jungeui Hong님의 답변

    >E. coli를 배양시켜 cell mass를 얻기위해 fermentor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 >fermentor에서 키우기 전에 플라스크에서 pre-culture를 해야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플라스크 culture 하기전에 시험관 배양도 해야 한다고 알고 있구요. 문제는 > >1. 시험관배양은 몇시간, 플라스크 배양은 몇시간 해야하는지... >2. 시험관배양할때 OD값을 측정하여 growth curve를 그리기도 하나요? >시험관에서 많이 키워봤자 5ml인데 OD값 찍기위해 1ml씩만 sampling 해도 5번 sampling하면 하나도 안남는데 ^^; > > > 1. E.coli cell을 새로운 소량(3~5ml) media에 inoculation시키고 나면 보통 3~4시간만에 O.D=0.8~1.0 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보통 37도, 200rpm shaking 조건에서 그정도 속도로 자랍니다. doubling time이 20~30분정도로 매우 빠르죠...잘 계산하시면 됩니다....처음에 시험관에서 stationary phase 들어가기 전단계(O.D=0.8~1.2 근처)까지 키운다음에 용량이 큰 플라스크로 다시 약간량만 inoculation을 하면 됩니다. 2. growth curve는 보통 그려서 확인해야겠지요..exponential phase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니까요...그건 상황에 따라 결정하셔야 할듯... O.D값 계산시 cell volume이 작은 경우 dilution을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1ml 큐벳에 0.9ml LB media를 넣고 cell은 0.1ml만 옮겨서 잘 섞은 뒤 O.D값을 재면 되겠지요..물론 파이펫팅 에러의 가능성이 커지니까 왠만하면 dilution은 안하는 게 좋습니다...사람마다 다르긴 하지만 보통 O.D값이 1이나 2이상 너무 커지면 측정오차가 커지므로 필수적으로 dilution을 해서 재곤 합니다...원 culture의 양이 부족하므로 1:1, 1:10, 등등으로 적절히 dilution해서 O.D 값을 잰 뒤 그만큼 배수를 해주면 실제 O.D값을 측정할 수 있겠지요....
    >E. coli를 배양시켜 cell mass를 얻기위해 fermentor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 >fermentor에서 키우기 전에 플라스크에서 pre-culture를 해야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플라스크 culture 하기전에 시험관 배양도 해야 한다고 알고 있구요. 문제는 > >1. 시험관배양은 몇시간, 플라스크 배양은 몇시간 해야하는지... >2. 시험관배양할때 OD값을 측정하여 growth curve를 그리기도 하나요? >시험관에서 많이 키워봤자 5ml인데 OD값 찍기위해 1ml씩만 sampling 해도 5번 sampling하면 하나도 안남는데 ^^; > > > 1. E.coli cell을 새로운 소량(3~5ml) media에 inoculation시키고 나면 보통 3~4시간만에 O.D=0.8~1.0 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보통 37도, 200rpm shaking 조건에서 그정도 속도로 자랍니다. doubling time이 20~30분정도로 매우 빠르죠...잘 계산하시면 됩니다....처음에 시험관에서 stationary phase 들어가기 전단계(O.D=0.8~1.2 근처)까지 키운다음에 용량이 큰 플라스크로 다시 약간량만 inoculation을 하면 됩니다. 2. growth curve는 보통 그려서 확인해야겠지요..exponential phase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니까요...그건 상황에 따라 결정하셔야 할듯... O.D값 계산시 cell volume이 작은 경우 dilution을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1ml 큐벳에 0.9ml LB media를 넣고 cell은 0.1ml만 옮겨서 잘 섞은 뒤 O.D값을 재면 되겠지요..물론 파이펫팅 에러의 가능성이 커지니까 왠만하면 dilution은 안하는 게 좋습니다...사람마다 다르긴 하지만 보통 O.D값이 1이나 2이상 너무 커지면 측정오차가 커지므로 필수적으로 dilution을 해서 재곤 합니다...원 culture의 양이 부족하므로 1:1, 1:10, 등등으로 적절히 dilution해서 O.D 값을 잰 뒤 그만큼 배수를 해주면 실제 O.D값을 측정할 수 있겠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성우님의 답변

    >E. coli를 배양시켜 cell mass를 얻기위해 fermentor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 >fermentor에서 키우기 전에 플라스크에서 pre-culture를 해야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플라스크 culture 하기전에 시험관 배양도 해야 한다고 알고 있구요. 문제는 > >1. 시험관배양은 몇시간, 플라스크 배양은 몇시간 해야하는지... >2. 시험관배양할때 OD값을 측정하여 growth curve를 그리기도 하나요? >시험관에서 많이 키워봤자 5ml인데 OD값 찍기위해 1ml씩만 sampling 해도 5번 sampling하면 하나도 안남는데 ^^; > > > 1. 어느 규모의 발효를 계획하고 계신지 모르겠으나, 일반적으로 재조합 단백질 생산등의 발효시에 Seed culture는 overnight culture를 사용합니다. 특이한 경우 Seed culture의 상태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Overnight culture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물론 발효의 조건 최적화를 계획하신다면 Seed culture의 상태에 따른 발효배양을 각각 진행해 보셔야 하고 발효조에 접종할 Seed culture의 양 등도 조건을 잡아야 할 것입니다. 2. 시험관 배양에서는 growth curve를 측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growth curve는 발효배양시에만 하면 됩니다. 다만 플라스크 배양에서 미리 growth curve를 잡아놓은 데이타가 있다면 발효배양시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E. coli를 배양시켜 cell mass를 얻기위해 fermentor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 >fermentor에서 키우기 전에 플라스크에서 pre-culture를 해야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플라스크 culture 하기전에 시험관 배양도 해야 한다고 알고 있구요. 문제는 > >1. 시험관배양은 몇시간, 플라스크 배양은 몇시간 해야하는지... >2. 시험관배양할때 OD값을 측정하여 growth curve를 그리기도 하나요? >시험관에서 많이 키워봤자 5ml인데 OD값 찍기위해 1ml씩만 sampling 해도 5번 sampling하면 하나도 안남는데 ^^; > > > 1. 어느 규모의 발효를 계획하고 계신지 모르겠으나, 일반적으로 재조합 단백질 생산등의 발효시에 Seed culture는 overnight culture를 사용합니다. 특이한 경우 Seed culture의 상태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Overnight culture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물론 발효의 조건 최적화를 계획하신다면 Seed culture의 상태에 따른 발효배양을 각각 진행해 보셔야 하고 발효조에 접종할 Seed culture의 양 등도 조건을 잡아야 할 것입니다. 2. 시험관 배양에서는 growth curve를 측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growth curve는 발효배양시에만 하면 됩니다. 다만 플라스크 배양에서 미리 growth curve를 잡아놓은 데이타가 있다면 발효배양시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