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14
org.kosen.entty.User@585fb704
이지혜(hermione)
- 1
antibody를 찾다보니,
Hemoglobin A1c와 hemoglobin, glycated 이렇게 두 종류의 항체가 있더라구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지 궁금해서요
처음으로 ELISA를 하려고 하니 모르는 게 너무 많아서 ㅠ.ㅠ 걱정입니다
- Hemoglob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임채진님의 답변
2007-03-19- 0
>antibody를 찾다보니, >Hemoglobin A1c와 hemoglobin, glycated 이렇게 두 종류의 항체가 있더라구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지 궁금해서요 >처음으로 ELISA를 하려고 하니 모르는 게 너무 많아서 ㅠ.ㅠ 걱정입니다 hemoglobin beta chain의 경우 N-term이 Valine입니다. 원래 hemoglobin의 valine은 glycosylation이 없이 존재하는데요.. 이런 형태의 hemoglobin을 HbA1o라고 합니다. 그런데 혈액 내에는 glucose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hemoglobin의 6-7% 정도가 valine이 glycosylation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지요.. 이를 HbA1c라고 부르고요. 여기에서, 당뇨병을 앓게되면 혈액 중에 glucose의 농도가 많이 올라가죠. 그렇기 때문에 HbA1c의 농도가 8% 이상으로 올라가게되죠. 그래서 환자의 HbA1c의 농도를 구해봄으로 최근 혈액중의 glucose의 농도가 어떠했는지를 예측할 수 있게됩니다. 이를 통해 이 사람이 당뇨 치료를 제대로 받고 있는지, 약효가 제대로 나오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거지요..(간략히말해서..) 이러한 측면에서 HbA1c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n-term valine이 glycosylation된 헤모글로빈의 양을 전체 대비 측정하면 그 함량을 측정할 수 있기때문에 이런 두가지 항체가 판매되고 있는 것이고요.. 답이 됐는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