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투명전극 ITO에 관해서..

1. ITO 전극패턴 후 패턴 ITO 색이 변한다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푸른색 or 노란색) 2. ITO 전극패턴 후 그 위에 다른 금속을 코팅해서 쓰는 경우가 있는지? 있다면 무슨이유로 어떤 물질을 코팅해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 이유에 대한 자료나 자료를 구할 수 있는 곳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TO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영국님의 답변

    ITO가 아무리 저항이 낮다고해도 금속에 비하면 턱없이 높습니다. 따라서 PDP의 경우 ITO코팅한 부분 일부에 전도성 금속을 (bus 전극) 다시 증착하여ITO의 높은 저항으로 인한 손실을 최대한 줄이려고 금속을 다시 코팅합니다. 색의 변화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노란색이나 푸른색이 보였다면 간섭색이 아닐까요?
    ITO가 아무리 저항이 낮다고해도 금속에 비하면 턱없이 높습니다. 따라서 PDP의 경우 ITO코팅한 부분 일부에 전도성 금속을 (bus 전극) 다시 증착하여ITO의 높은 저항으로 인한 손실을 최대한 줄이려고 금속을 다시 코팅합니다. 색의 변화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노란색이나 푸른색이 보였다면 간섭색이 아닐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ITO의 저항값이 비교적 높습니다. 따라서 ITO를 coating한후 전도성polymer를 박막으로 coating하여주면 효과적입니다.
    ITO의 저항값이 비교적 높습니다. 따라서 ITO를 coating한후 전도성polymer를 박막으로 coating하여주면 효과적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서덕일님의 답변

    >1. ITO 전극패턴 후 패턴 ITO 색이 변한다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푸른색 or 노란색)>2. ITO 전극패턴 후 그 위에 다른 금속을 코팅해서 쓰는 경우가 있는지? 있다면 무슨이유로 어떤 물질을 코팅해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그 이유에 대한 자료나 자료를 구할 수 있는 곳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 만약 패턴색이 육안이든 광학현미경이든 변한다는 것은 패터닝(wet 또는 dry) 시 마스킹 된 부분도 미세하지만 damage 등으로 두께가 변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저는 LED 업계 종사자인데 ITO를 증착하고 열처리를 한다던가 아니면 식각후 ITO의 색이 두께 차이로 인하여 변합니다 2. 역시 LED 업계라 제가 아는 한 답변드립니다. ITO는 투명전극이지만 일반 금속 전극물질에 비하면 전기적특성이 매우 안좋은 편에 속합니다. 따라서 그 위에 다시 metal 전극을 증착하게 되지요. 메탈은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로 정해질 수 있습니다.
    >1. ITO 전극패턴 후 패턴 ITO 색이 변한다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푸른색 or 노란색)>2. ITO 전극패턴 후 그 위에 다른 금속을 코팅해서 쓰는 경우가 있는지? 있다면 무슨이유로 어떤 물질을 코팅해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그 이유에 대한 자료나 자료를 구할 수 있는 곳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 만약 패턴색이 육안이든 광학현미경이든 변한다는 것은 패터닝(wet 또는 dry) 시 마스킹 된 부분도 미세하지만 damage 등으로 두께가 변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저는 LED 업계 종사자인데 ITO를 증착하고 열처리를 한다던가 아니면 식각후 ITO의 색이 두께 차이로 인하여 변합니다 2. 역시 LED 업계라 제가 아는 한 답변드립니다. ITO는 투명전극이지만 일반 금속 전극물질에 비하면 전기적특성이 매우 안좋은 편에 속합니다. 따라서 그 위에 다시 metal 전극을 증착하게 되지요. 메탈은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로 정해질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