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22
org.kosen.entty.User@6565cd6a
최서희(ruth98)
- 1
제가 breast cancer cell line을 몇개 키우는데
각각의 특징이 뭔지 궁금해요.
MCF7, MCF7S, MCF7R, MCF7/LCC1, MCF7/LCC2, MCF7/LCC9.
MDA-MB-231, MDA-MB-453이요.
그리고 논문에 보면 LCC 시리즈는 대부분 phenol red free와
FBS도 hormone 특성이 없는 것으로 키우는데.. LCC 시리즈는 꼭
그렇게 써야 하는 건가요?
혹시 NFkB level 실험을 하려면 (RT-PCR이나 western)
media를 꼭 저 위에 쓰여 있는 것을 써야 하나요?
저것을 쓰면.. 다른 cell line도 같이 저것으로 키워야 하나요?
궁금합니다. -.,-
- MCF7
- LCC1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2009-01-29- 0
>제가 breast cancer cell line을 몇개 키우는데>>각각의 특징이 뭔지 궁금해요.>>MCF7, MCF7S, MCF7R, MCF7/LCC1, MCF7/LCC2, MCF7/LCC9.>>MDA-MB-231, MDA-MB-453이요.>>그리고 논문에 보면 LCC 시리즈는 대부분 phenol red free와>>FBS도 hormone 특성이 없는 것으로 키우는데.. LCC 시리즈는 꼭>>그렇게 써야 하는 건가요?>>혹시 NFkB level 실험을 하려면 (RT-PCR이나 western) >>media를 꼭 저 위에 쓰여 있는 것을 써야 하나요?>>저것을 쓰면.. 다른 cell line도 같이 저것으로 키워야 하나요?>>궁금합니다. -.,- 대부분의 세포주가 최적의 배양액을 가지고 쓰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배양액을 쓰셔야 합니다. 페놀레드 없는 것은 배양액의 ph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이나 세포 성장에 영향을 줄수도 있으니 이는 실험적으로 비교해 보셔야 합니다.세포주의 배양액 보다 실험적으로는 세포의 양이 좌우 되기 때문에 NFkB level 실험은 같은 배양액을 쓰십시요. 만약에 논문을 쓰시더라도 참고문헌이 없으면 실험적으로 증명된 후에 쓰셔야 합니다. 결과 나온 것에 대한 Factor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