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미생물학관련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ㅠㅠ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탄소에너지원으로 글루코즈를 이용하는데요. 갈락토즈를 탄소원으로 써도 대사가 가능한가요? 해당과정에서 갈랄토즈가 최종적으로 glucose-6-phosphate로 전환되어서 해당과정으로 들어가는건 이론적으로는 알지만 실제 미생물을 키울때 galactose를 탄소원으로 사용해도 가능할까요?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탄소원
  • 갈락토즈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강선엽님의 답변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탄소에너지원으로 글루코즈를 이용하는데요. > >갈락토즈를 탄소원으로 써도 대사가 가능한가요? > >해당과정에서 갈랄토즈가 최종적으로 glucose-6-phosphate로 전환되어서 > >해당과정으로 들어가는건 이론적으로는 알지만 > >실제 미생물을 키울때 galactose를 탄소원으로 사용해도 가능할까요? >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Galactose 뿐만 아니라 Maltose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Sucrose등 기타 여러가지 당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꼭 Glucose를 사용하면 안되는 지요..? 제 경험으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Glucose가 효율면에서 비용면에서 가장 좋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탄소에너지원으로 글루코즈를 이용하는데요. > >갈락토즈를 탄소원으로 써도 대사가 가능한가요? > >해당과정에서 갈랄토즈가 최종적으로 glucose-6-phosphate로 전환되어서 > >해당과정으로 들어가는건 이론적으로는 알지만 > >실제 미생물을 키울때 galactose를 탄소원으로 사용해도 가능할까요? >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Galactose 뿐만 아니라 Maltose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Sucrose등 기타 여러가지 당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꼭 Glucose를 사용하면 안되는 지요..? 제 경험으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Glucose가 효율면에서 비용면에서 가장 좋았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최기섭님의 답변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탄소에너지원으로 글루코즈를 이용하는데요. > >갈락토즈를 탄소원으로 써도 대사가 가능한가요? > >해당과정에서 갈랄토즈가 최종적으로 glucose-6-phosphate로 전환되어서 > >해당과정으로 들어가는건 이론적으로는 알지만 > >실제 미생물을 키울때 galactose를 탄소원으로 사용해도 가능할까요? >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Galactose를 대사할 수 있는 미생물이라면 키워도 상관없습니다. 물론 위에서 말씀하신대로 sucrose, maltose와 lactose, starch등의 당류를 써도 생장은 합니다. 그리고, 위의 당성분이 없이 yeast extract에 몇가지 chemical compound를 넣어도 생장하구요. Complex medium과 defined medium을 생각해 보시면 될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키우고자 하는 미생물이 그 당을 uptake하고 대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의 문제입니다. 많은 미생물의 경우에 Glucose가 가장 좋은 탄소원입니다(이것은 단위시간당 소비율과 당의 단위 gram당 균체량 생성능에 따라서 구분합니다.). 그러나, glucose를 대사하지 못하는 미생물도 있고, sucrose가 더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특정 미생물이 어떤 당을 소비할 수 있는지는 Bergey's manual이나 prokaryotes에 보면 잘 나와있습니다. 그 책에 안나오면 paper를 찾는 수 밖에 없구요. 아무곳에서도 정보를 찾을 수 없으면 직접 테스트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끝...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탄소에너지원으로 글루코즈를 이용하는데요. > >갈락토즈를 탄소원으로 써도 대사가 가능한가요? > >해당과정에서 갈랄토즈가 최종적으로 glucose-6-phosphate로 전환되어서 > >해당과정으로 들어가는건 이론적으로는 알지만 > >실제 미생물을 키울때 galactose를 탄소원으로 사용해도 가능할까요? >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Galactose를 대사할 수 있는 미생물이라면 키워도 상관없습니다. 물론 위에서 말씀하신대로 sucrose, maltose와 lactose, starch등의 당류를 써도 생장은 합니다. 그리고, 위의 당성분이 없이 yeast extract에 몇가지 chemical compound를 넣어도 생장하구요. Complex medium과 defined medium을 생각해 보시면 될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키우고자 하는 미생물이 그 당을 uptake하고 대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의 문제입니다. 많은 미생물의 경우에 Glucose가 가장 좋은 탄소원입니다(이것은 단위시간당 소비율과 당의 단위 gram당 균체량 생성능에 따라서 구분합니다.). 그러나, glucose를 대사하지 못하는 미생물도 있고, sucrose가 더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특정 미생물이 어떤 당을 소비할 수 있는지는 Bergey's manual이나 prokaryotes에 보면 잘 나와있습니다. 그 책에 안나오면 paper를 찾는 수 밖에 없구요. 아무곳에서도 정보를 찾을 수 없으면 직접 테스트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