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29
org.kosen.entty.User@32489aa7
양영대(nicguy)
- 1
PP, PE 같은 올레핀 수지에 접착이 나오는 수지가 있는데요(완벽하지는 않음). 예를 들어 CPP가 되겠지요.
접착 원리가 뭔지 알고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PVC와 같이 용제에 녹는 제품의 경우 코팅을 했을 경우 용제에 의해 팽윤 또는 용해가 되어 같이 붙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PP나 PE 같은 경우에는 용제에 녹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데 기초 지식을 딸려서 ///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 TPO
- ADHESIVE
- POLYRPOPYLEN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강병언님의 답변
2007-04-03- 0
접착력을 설명하는 몇가지 mechanism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adsorption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P, PE 등의 수지와 같이 Hydrophobic한 resin에 접착력이 있으려면, 단순한 adsorption으로는 접착력을 내기 어렵기 때문에 primer 처리 후에 cyanoarylate 등으로 다른 PP/PE 등과 접착을 시킵니다. 두개의 hydrophobic한 resin의 접착을 이루는 다른 방법은 Hot-melt 수지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 수지는 polymer base에 tackifier 및 기타 성분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러한 성분 중에는 단순한 diffusion 혹은 physical adsorption을 가능케하거나 curing이 가능케하는 성분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Hydrophobic한 PP/PE 등의 수지에 cPP 등을 hot melt로 붙일 수는 있는데, cPP의 polymer 특성상 그 접착력은 다른 curing hot melt 시스템에 비해 낮을 것으로 보이는군요. 접착 mechanism을 굳이 적는다면, van der Waals force/mechanical interlocking/약간의 diffusion 등이겠는데, 기본적으로 좋은 접착력을 내는 adhesion mechanism은 아닙니다. 접착과 관련한 몇 가지 일반서가 있는데, 필요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PP, PE 같은 올레핀 수지에 접착이 나오는 수지가 있는데요(완벽하지는 않음). 예를 들어 CPP가 되겠지요. >접착 원리가 뭔지 알고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PVC와 같이 용제에 녹는 제품의 경우 코팅을 했을 경우 용제에 의해 팽윤 또는 용해가 되어 같이 붙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PP나 PE 같은 경우에는 용제에 녹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데 기초 지식을 딸려서 /// >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