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Yeast cell 보관법

Yeast cell의 보관법은 E. coli와 틀린가요? E.coli의 경우 보통 10-20% glycerol로 -80에 보관하는데 같은 방법으로 yeast cell을 보관하였더니 상당히 많은 경우가 녹인 후 다시자라지 못합니다. 보관법이 잘못되었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yeast
  • storag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저는 효모 얼릴 때, Plasmid를 집어넣은 yeast의 경우, selection medium에서 turbid하게 자란 yeast culture를 2xYPAD에서 subculture 합니다 (OD600=0.5 정도에서 4시간을 키우는 거죠...) 그런후 20-30% glycerol로 -80에 보관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E. coli와 비교하면 freezing-thawing cycle을 몇번만 하더라도 viability가 매우 빨리 감소되어서, 일반적으로 여러개 stock을 만들어 두는 편이구요... 빈번히 사용하게 되는 경우라면 agar plate에서 restreaking해 가면서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yeast가 e. coli에 비해 훨씬 무겁기 때문에 -80에서 freezing되는 동안 cryotube 바닥에 침전이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잘자라지 않을 경우 완전히 thawing을 하고 mild하게 vortexing을 한 후 따서 사용하면 자라는 것을 관찰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e. coli 보다는 조금 더 까다로운 것 같습니다... >Yeast cell의 보관법은 E. coli와 틀린가요? >E.coli의 경우 보통 10-20% glycerol로 -80에 보관하는데 >같은 방법으로 yeast cell을 보관하였더니 상당히 많은 경우가 녹인 후 다시자라지 못합니다. >보관법이 잘못되었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효모 얼릴 때, Plasmid를 집어넣은 yeast의 경우, selection medium에서 turbid하게 자란 yeast culture를 2xYPAD에서 subculture 합니다 (OD600=0.5 정도에서 4시간을 키우는 거죠...) 그런후 20-30% glycerol로 -80에 보관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E. coli와 비교하면 freezing-thawing cycle을 몇번만 하더라도 viability가 매우 빨리 감소되어서, 일반적으로 여러개 stock을 만들어 두는 편이구요... 빈번히 사용하게 되는 경우라면 agar plate에서 restreaking해 가면서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yeast가 e. coli에 비해 훨씬 무겁기 때문에 -80에서 freezing되는 동안 cryotube 바닥에 침전이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잘자라지 않을 경우 완전히 thawing을 하고 mild하게 vortexing을 한 후 따서 사용하면 자라는 것을 관찰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e. coli 보다는 조금 더 까다로운 것 같습니다... >Yeast cell의 보관법은 E. coli와 틀린가요? >E.coli의 경우 보통 10-20% glycerol로 -80에 보관하는데 >같은 방법으로 yeast cell을 보관하였더니 상당히 많은 경우가 녹인 후 다시자라지 못합니다. >보관법이 잘못되었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