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항원-항체 Association test (Binding test) 측정법을 알고 싶습니다.

일반적인 Anti-Human CD3와 같은 항원과 T cell 과의 binding test를 하고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CD3-FITC와 같이 형광물질이 커플된 항원을 쓰면, 시간에 따른 binding 수의 증가속도를 측정해 낼수 있겠지만... (Homogeneous binding 입니다) 문제는 제 실험에서는 CD3항원을 코팅한 약 1 micron의 micro partcle 을 쓴다는 것입니다. 1 micron 크기의 particle이 시간에 따라 T cell에 부착되는 수의 증가량을 측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상용화된 Biosensor들은 대부분 heterogeneous binding 방식으로 센서표면에 analyte를 도포하여 사용하는데, 제 실험은 이것과는 binding 방식 자체가 달라서 사용불가할것 같고요... FACS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기에는 세포벽에 붙었다해도 1 micron 크기의 particle은 측정에 많은 오차를 낼것이 분명합니다. 좋은 조언바랍니다.
  • Association
  • Binding
  • Micro particl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질문을 조금 더 자세이 설명을 해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CD3는 T세포의 표면에 붙어있는 수용체로서 T세포의 마커로 사용되어집니다.. 이런 CD3를 파티클에 코팅을 해서 T세포를 측정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잘못된거 같아서.. 아마도 제가 이해를 잘 못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파티클에 코팅을 하면 release되거나 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맞겠죠? 제 생각에는 이러한 종류의 실험들은 우선 파티클을 flow cytometry에서 인지를 하느냐 못하느냐는 불필요 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시말해 시험하는 파티클이 원하는 세포에 붙느냐가 관건인 셈이죠.. 그렇다면 two-color staining을 하시면 됩니다.. 즉 마이크로 파티클은 FITC로 염색을 하고, 원하는 세포는 PE, PerCP 혹은 APC로 염색을 하여 FACS로 측정 및 분석을 하면.. double-color staining이 되는 경우에는 내가 원하는 세포에 바인딩했다라고 증명을 할 수 있는 셈이죠.. 마찬가지로 다른세포에 바인딩하지 않았다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시면 되구요.. 제가 이해를 잘 못 했다면 쪽지나 댓글 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실험 되세요.. >일반적인 Anti-Human CD3와 같은 항원과 T cell 과의 binding test를 하고 있습니다. > >보통의 경우 CD3-FITC와 같이 형광물질이 커플된 항원을 쓰면, 시간에 따른 binding 수의 증가속도를 측정해 낼수 있겠지만... (Homogeneous binding 입니다) > >문제는 제 실험에서는 CD3항원을 코팅한 약 1 micron의 micro partcle 을 쓴다는 것입니다. > >1 micron 크기의 particle이 시간에 따라 T cell에 부착되는 수의 증가량을 측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상용화된 Biosensor들은 대부분 heterogeneous binding 방식으로 센서표면에 analyte를 도포하여 사용하는데, 제 실험은 이것과는 binding 방식 자체가 달라서 사용불가할것 같고요... > >FACS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기에는 세포벽에 붙었다해도 1 micron 크기의 particle은 측정에 많은 오차를 낼것이 분명합니다. > >좋은 조언바랍니다.
    질문을 조금 더 자세이 설명을 해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CD3는 T세포의 표면에 붙어있는 수용체로서 T세포의 마커로 사용되어집니다.. 이런 CD3를 파티클에 코팅을 해서 T세포를 측정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잘못된거 같아서.. 아마도 제가 이해를 잘 못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파티클에 코팅을 하면 release되거나 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맞겠죠? 제 생각에는 이러한 종류의 실험들은 우선 파티클을 flow cytometry에서 인지를 하느냐 못하느냐는 불필요 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시말해 시험하는 파티클이 원하는 세포에 붙느냐가 관건인 셈이죠.. 그렇다면 two-color staining을 하시면 됩니다.. 즉 마이크로 파티클은 FITC로 염색을 하고, 원하는 세포는 PE, PerCP 혹은 APC로 염색을 하여 FACS로 측정 및 분석을 하면.. double-color staining이 되는 경우에는 내가 원하는 세포에 바인딩했다라고 증명을 할 수 있는 셈이죠.. 마찬가지로 다른세포에 바인딩하지 않았다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시면 되구요.. 제가 이해를 잘 못 했다면 쪽지나 댓글 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실험 되세요.. >일반적인 Anti-Human CD3와 같은 항원과 T cell 과의 binding test를 하고 있습니다. > >보통의 경우 CD3-FITC와 같이 형광물질이 커플된 항원을 쓰면, 시간에 따른 binding 수의 증가속도를 측정해 낼수 있겠지만... (Homogeneous binding 입니다) > >문제는 제 실험에서는 CD3항원을 코팅한 약 1 micron의 micro partcle 을 쓴다는 것입니다. > >1 micron 크기의 particle이 시간에 따라 T cell에 부착되는 수의 증가량을 측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상용화된 Biosensor들은 대부분 heterogeneous binding 방식으로 센서표면에 analyte를 도포하여 사용하는데, 제 실험은 이것과는 binding 방식 자체가 달라서 사용불가할것 같고요... > >FACS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기에는 세포벽에 붙었다해도 1 micron 크기의 particle은 측정에 많은 오차를 낼것이 분명합니다. > >좋은 조언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