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23
org.kosen.entty.User@7d7f68d5
김경순(kks1980)
- 1
기초적인 질문이데요
IR과 NMR에서 EO, PO의 부가몰수를 어찌구분하나?
예로 알킬알콜에 EO=5mol,PO=24mol이 있는 화합물이 맞는지 어찌 판단하나여?
- IR과 NMR에서 EO
- PO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호진님의 답변
2007-05-19- 0
질문이 EO와 PO의 공중합체에서 각 단위체의 조성을 어떻게 NMR과 IR로 구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이해됩니다. 관련 연구인 듯 하여 링크합니다. http://www.cheric.org/research/tech/periodicals/vol_view.php?seq=12057&start=0&number=12&jourid=10&vol=11&num=1&totalcount=20 “의료용 캐스트 테이프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합성하고, 이 조성물 중 poly(ethylene oxide-co-propylene oxide glycol) (EO-PO) 프리폴리머와 광유 (mineral oil)의 특성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EO-PO는 EO와 PO가 81:19 mol%로 구성된 공중합체로서 수 평균 분사량(Mn)이 5719g/mol, 분자량 분포도 (PDI)가 1.035이며, 거품 형성과 계면 활성이 없는 에멀젼 형태의 폴리올이다. 합성한 네 가지의 폴리우레탄 시료 (A-1, A-2, A-3, 및 B로 명명함)를 NMR로 분석한 결과, EO의 함량이 각각 0, 9.45, 16.92 및 19.58 wt%, 광유(mineral oil)는 각각 7.08, 6.90, 7.16 및 0 wt% 로 확인되었다. 또한 합성한 수지 조성물에 수분을 첨가하고 시간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활성기인 NH와 NCO 그룹의 면적 변화를 적외선 분광기로 조사한 결과, A-3 > A-2 > A-1 의 순서로 초기 반응속도가 빠르게 측정되었다. 이는 EO-PO 프리폴리머가 우레탄 수지의 초기 가교를 촉진하는 매체로 사용된 것으로 사료되며, EO의 친수성이 주된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논문의 초록을 보시면, IR은 NH와 NCO group의 흡광도를 얻어서 이 부분에 해당하는 흡수 스펙트럼의 면적을 구하는 방식으로 분석합니다. 하지만 EO-PO의 정량은 하지 못하지요. IR은 정성적인 분석에는 사용하지만 정량 분석에는 아주 어렵습니다. NMR은 EO와 PO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각 단량체에서 나온 신호를 지정해야 하지만.. 고분자 관련 NMR 자료를 찾아보시면 이미 사람들이 해 놓았을 겁니다. 따라서 특정 신호의 면적을 구하면 얼마나 각 단량체가 들어있는지 정량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만일 각 단량체가 순수한 상태로 되어 있다면, 무게를 측정해서 분자량으로 나누면 되고요. IR로는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정량은 어렵고, NMR을 이용하면 몰 수를 알고 있는 표준 물질(예를 들면 알콜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으면)의 신호와 EO 또는 PO의 신호를 각각 적분하면 몰 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초적인 질문이데요 > >IR과 NMR에서 EO, PO의 부가몰수를 어찌구분하나? > >예로 알킬알콜에 EO=5mol,PO=24mol이 있는 화합물이 맞는지 어찌 판단하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