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100~120도에서 SMT나 납땜(?)을 할 수 있는 고체물질?

용융점이 100~120도로 그 구간의 온도에서 비전도성/전도성 상관없이 SMT나 납땜(?)처럼 실링을 할 수 있는 금속성 고체물질을 소개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같은 물질도 온도와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목적은 SMT같이 자동화된 기계를 통해 플라스틱을 살짝 녹이며 엉겨붙여 플라스틱과 플라스틱을 고정/본딩을 하는데 사용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 sm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돈진님의 답변

    저에게 답변 가능한 질문이라는 메일이 와서 답변을 드립니다만, 일단, 저의 전공과는 틀린 것 같습니다만, 짧은 저의 소견으로 볼때 물어보신 내용은 작지만, 대답해야 할 내용이 너무 많은것 같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질문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용융점이 100~120도로 그 구간의 온도에서 비전도성/전도성 상관없이 SMT나 납땜(?)처럼 실링을 할 수 있는 금속성 고체물질을 소개 부탁드립니다. > >그리고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같은 물질도 온도와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목적은 SMT같이 자동화된 기계를 통해 플라스틱을 살짝 녹이며 엉겨붙여 플라스틱과 플라스틱을 고정/본딩을 하는데 사용하고자 합니다. > >감사합니다.
    저에게 답변 가능한 질문이라는 메일이 와서 답변을 드립니다만, 일단, 저의 전공과는 틀린 것 같습니다만, 짧은 저의 소견으로 볼때 물어보신 내용은 작지만, 대답해야 할 내용이 너무 많은것 같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질문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용융점이 100~120도로 그 구간의 온도에서 비전도성/전도성 상관없이 SMT나 납땜(?)처럼 실링을 할 수 있는 금속성 고체물질을 소개 부탁드립니다. > >그리고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같은 물질도 온도와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목적은 SMT같이 자동화된 기계를 통해 플라스틱을 살짝 녹이며 엉겨붙여 플라스틱과 플라스틱을 고정/본딩을 하는데 사용하고자 합니다. > >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