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07
org.kosen.entty.User@488e1cd5
김병렬(env21)
- 2
형광계의 광원으로 사용되는것은 무엇이며, 파장대역은 어떻게 됩니까?
UV 영역만 쓰는건지? 아님 Vis 영역도 형광계 광원을 사용하나요?
- LE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2007-05-08- 0
UV LED에는 적,녹,청색 형광체가 모두 사용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Ra값을 높이기 위해 오렌지색 형광체까지 추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UV LED의 파장은 현재로서는 400nm정도의 것을 사용합니다. 그보다 짧은파장을 사용하면 몸에도 좋지는 않고 무엇보다 LED를 패키징하는데 사용하는 에폭시나 실리콘이 황색으로 변해버리게 됩니다. 400nm의 파장은 실제로 가시광선 영역의 보라색 빛입니다. 그래서 이때 사용하는 LED를 near UV LED라고도 합니다. >형광계의 광원으로 사용되는것은 무엇이며, 파장대역은 어떻게 됩니까? > >UV 영역만 쓰는건지? 아님 Vis 영역도 형광계 광원을 사용하나요? -
답변
조돈찬님의 답변
2007-05-09- 0
>형광계의 광원으로 사용되는것은 무엇이며, 파장대역은 어떻게 됩니까? > >UV 영역만 쓰는건지? 아님 Vis 영역도 형광계 광원을 사용하나요? 형광계 광원이라고 질문하신 것이 형광체를 이용하여 가시광으로 전화하여 주는 광원을 의미하신다면 크게 2종류로 구문될 수 있습니다. 먼저 가시광이라고 하면 400nm ~ 700nm (혹은 380nm ~ 720nm) 영역의 파장을 갖는 빛으로 인간의 눈에 감지되는 영역입니다. 파장변환을 통한 Color 표현을 Color Conversion tech.라고 하며, 기본 광원에 따라 크게 2가지로 Blue 광원과 형광체를 조합한 경우, UV 광원과 형광체를 조합한 경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Blue 광원(450nm ~ 460nm)을 적용한 경우 - Blue 광원 + Yellow Phosphor (일반적으로 YAG) - Blue 광원 + Red/Green Phosphor (적/녹 적층 순서 중요) (2) UV 광원을 적용한 경우 - near UV (380nm ~ 410nm) + Red/Green/Blue Phosphor - deep UV ( ~ 365nm) + Red/Green/Blue Phosphor 따라서 질문에 대한 답변은 UV도 가능하고 Vis광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상기 설명은 백색광 구현을 위한 방안으로 조심하셔야 할 것은 조명용 백색광에서는 연색성을 중시하지만 Display용 백색광은 색재현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원하는 분야에 따라 특성이 정반대인 형광체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또한 최근 주목 받고 있는 LED를 광원으로 적용할 경우, 상기 파장에서의 고분자 Package 재료 열화(황변으로 인한 광투과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전용 Package 재료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Epoxy계 수지 -> Silicon계 수지 -> LED 전용 Silicon 수지) 질문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