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07
org.kosen.entty.User@2f4a3e24
최경선(icsnow)
- 2
산가와 산도, OH value.
인터넷을 뒤져봐도 아주 일반적인 정의만 되어 있지 실제로
이 값들을 통해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의 산가가 5다.
이것을 통해 이 물질의 어떤 걸 알 수 있는지요?
1몰에 들어있는 산을 띠는 관능기의 갯수 같은건가요?
- acid valu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성욱님의 답변
2007-05-08- 0
>산가와 산도, OH value. >인터넷을 뒤져봐도 아주 일반적인 정의만 되어 있지 실제로 >이 값들을 통해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의 산가가 5다. >이것을 통해 이 물질의 어떤 걸 알 수 있는지요? >1몰에 들어있는 산을 띠는 관능기의 갯수 같은건가요? 우선 산도는 다른 말로 하면 pH입니다. 산성인데 수소를 얼마만큼 잘 떨어지게 하느냐 의 값이라고 설명이 되겠군요.... 하지만 산가(acid value)는 pH와 달리 산이 들어간 화합물이 있을 때 일정한 질량의 화합물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들어간 염기 (보통은 KOH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의 질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 니다. 하여간 산을 갖고 있는 어떤 질량의 화합물을 중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KOH의 mg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KOH는 물에 녹여서 농도를 측정하고 이것을 지시약을 넣고 산이 들어간 용액에 한방울 한방울 떨어뜨려 중화되는 순간의 KOH용액의 양을 측정하고 거기서 농도를 이용해 KOH의 질량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산도의 경우는 PKa값으로 계산을 하고 산가는 중화적정시 들어간 염기의 질량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염산과 아세트산의 경우 둘다 화학식에서는 수소가 한개씩 나오지만 염산은 강산이고 아세트산은 약산인 것은 염산의 경우 수소가 95%, 아세트산은 수소가 4% 유리되어 화학식에서 보는 것과 다른 산가를 가지며 중화에 필요한 OH가 큰 차이가 나겠지요? 맞나 모르겠습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07-06-02- 0
>산가와 산도, OH value. >인터넷을 뒤져봐도 아주 일반적인 정의만 되어 있지 실제로 >이 값들을 통해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의 산가가 5다. >이것을 통해 이 물질의 어떤 걸 알 수 있는지요? >1몰에 들어있는 산을 띠는 관능기의 갯수 같은건가요? 답변: 이 규격은 ISO 9454-1에서 규정된 type 1과 type 2 플럭스의 산가를 측정하는 2개의 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방법 A는 전위차 적정법으로, 표준 방법으로 간주한다. 방법 B는 대체 방법으로, 눈으로 종점을 찾는 육안 적정법이다. * http://www.thefreedictionary.com/acid+value * http://jagor.srce.hr/ccacaa/CCA-PDF/cca2005/v78-n1/CCA_78_2005_99-103_kardash.pdf * http://www.wordwebonline.com/en/ACID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