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물병안의 기포가 표면에 붙어서 위로 상승하지 않는 이유

물병에 물을 담아 상온에서 방치하면 out gas로 인한 bubble이 형성되어 물병안쪽 표면에 부착합니다. 그런데, 기포가 상부로 바로 이동하지 않고 특별한 물리적 충격을 주지 않는 이상 계속 표면에 부착하여 있읍니다. 이런한 현상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 bubbl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장호님의 답변

    >물병에 물을 담아 상온에서 방치하면 out gas로 인한 bubble이 형성되어 물병안쪽 표면에 부착합니다. >그런데, 기포가 상부로 바로 이동하지 않고 특별한 물리적 충격을 주지 않는 이상 계속 표면에 부착하여 있읍니다. >이런한 현상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제 생각에는 물속에서 기체가 용해상태에서 기체로 나오는 과정에서 핵이 형성되는데 이때 기벽에서 먼저 형성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찬물을 실내에 두면 온도가 올라가는것이 용기표면이기 때문이죠. 그러면 핵을 중심으로 기체가 모이게 되는데 이때 기체와 용기와의 부착력이 기체가 중력을 이기고 부력에 의해 위로 상승하려는 힘보다 강한 상태에서는 위로 떠 오르지 못합니다. 그런데 제가 생각하기로는 물과 용기의 부착력에 비해 공기와 용기의 부착력이 더 강해서 물속에 기체가 커지면 부착면적도 커져서 완전구형이 형성되지 않고 반구형모양으로 되면서 부착력이 커질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만일 압축공기가 들어 있는 물을 갑자기 압력을 떨어트리거나 하면 기벽에 붙기 전에 가운데 부분에서 핵이 형성됨으로 위로 올라오게 될것입니다. 제 생각이었습니다. 즐거운 날 되십시요.
    >물병에 물을 담아 상온에서 방치하면 out gas로 인한 bubble이 형성되어 물병안쪽 표면에 부착합니다. >그런데, 기포가 상부로 바로 이동하지 않고 특별한 물리적 충격을 주지 않는 이상 계속 표면에 부착하여 있읍니다. >이런한 현상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제 생각에는 물속에서 기체가 용해상태에서 기체로 나오는 과정에서 핵이 형성되는데 이때 기벽에서 먼저 형성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찬물을 실내에 두면 온도가 올라가는것이 용기표면이기 때문이죠. 그러면 핵을 중심으로 기체가 모이게 되는데 이때 기체와 용기와의 부착력이 기체가 중력을 이기고 부력에 의해 위로 상승하려는 힘보다 강한 상태에서는 위로 떠 오르지 못합니다. 그런데 제가 생각하기로는 물과 용기의 부착력에 비해 공기와 용기의 부착력이 더 강해서 물속에 기체가 커지면 부착면적도 커져서 완전구형이 형성되지 않고 반구형모양으로 되면서 부착력이 커질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만일 압축공기가 들어 있는 물을 갑자기 압력을 떨어트리거나 하면 기벽에 붙기 전에 가운데 부분에서 핵이 형성됨으로 위로 올라오게 될것입니다. 제 생각이었습니다. 즐거운 날 되십시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