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12
org.kosen.entty.User@670429ee
전용미(lain5356)
- 1
우선 먼저번 질문에 대한 친절한 답변에대해 감사의 말씀 먼저 전해드립니다.
추가적인 질문하나 더 할게요.
천연고분자화합물로 고분자분리막을 만들수 있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주변에서 흔히 볼수있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로 고분자분리막을 만드는 방법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
그리고 그것을 정수기의 물정화나 공기중 특정 기체 차단처럼 실생활에 응용이 가능한가요?
탄,단,지는 쉽게 변성해버리니까 어려울것같은데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있는지요?
좀 무모한 질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functional polyme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병훈님의 답변
2007-05-13- 0
우리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탄수화물이나 단백질로 일상생활에 널리 쓰는 고분자 분리막을 만드는 기술은아직은 널리 상용화되어 있지 못합니다. (실험실상에서 녹말가루로 혹은 실험용단백질로 잠깐의 분리막을 만들수는 있다고 합니다만) 이전에 생체막을 설명드렸는데요.. 말씀하신것처럼 생체막은 생체내에서 존재할수 있는 특수한 존재 condition에 의해 가능한것이기 때문에 밖으로 나와서는 변질되어 버리므로 분리막의 특성을 잃어버릴수 있습니다. 현재 막 제조 공정에 대한 여러가지 연구가 진행중인데 단백질이나 탄수화물에 특정 성분의 기능을 가진 다른 고분자를 첨가한다거나 코팅하여 다른 기능을 추가적으로 부가하여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정수기에 쓰는 분리막이 그런 원리이죠. 하나의 고분자 분리막에 다른 기능들을 가진 고분자 막을 코팅하여 이용하는.. 또한 음용수나 공정수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조막또한 역삼투압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매트릭스를 이용한 복합막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기체막또한 대대적으로 상용하되고는 있지않죠..(그렇다고 연구가 전혀 진행되지 않는것은 아닙니다) 첨부한 문서에 현재 고분자 막의 제조에 관한 문서를 첨부했으니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암호는 쪽지로 보냈습니다)